광주강의 78

8.약정파기

광주강의20220225a 예레미야 33장 20절(약정파기)-이 근호 목사 p.216 밑에서 9번째 줄, “지상에서의 축복과 저주, 곧 생명이냐 죽음이냐의 결정짓는 기호로서 새롭게 등장된 것이 ‘피’이다.” 그렇게 되어 있죠. 하나님께서는 지상에 오실 때 그냥 놀러 오신 게 아니에요. 무슨 일을 하시느냐. 예레미야 21장 8-10절에 보면 그것이 나오는데요. 오늘 예레미야가지고 설명을 많이 할 겁니다. 21장 8절을 제가 한번 읽어볼게요.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너는 또 이 백성에게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신다 하라 보라 내가 너희 앞에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두었노니”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두었다. 생명의 길 그리고 사망의 길. 하나님께서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둔다는 말은 신약 때 성도도 똑같은 ..

광주강의 2022.02.27

7.말씀의 완성

광주강의20211223a 창세기 9장 13절(말씀의 완성)-이 근호 목사 p.214부터 할 차례입니다. p.213 밑에서 6번째 줄에 “말씀 안에 ‘종말’이 담겨 있”다고 되어 있죠, ‘본론 언약과 주체의 발생’ 바로 밑에. “말씀을 거부하면 사람은 죽게 된다. 그 이유는, 말씀 안에 ‘종말’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어 있어요. 그래서 말씀이 없다면 인간은 죽는 이유도 몰랐는데 말씀이 딱 들어오니까 말씀이 말씀되기 위해서 인간은 죽어야 된다는 사실이 드러나는 겁니다. 그럼 개인적으로 봐서는 죽는다니까 상당히 허무하게 느껴지지만 이거 하나 생각하면 그렇게 허무하지 않을 거예요. ‘죽음은 완성이다’ 알기 쉽게 다른 말로 하면 ‘죽음은 성공이다’. 죽음이 성공인 이유는 죽음이 주님의 성취이기 때문입..

광주강의 2021.12.25

6.이름없음

광주강의20211126a 출애굽기 19장 17절(이름없음)-이 근호 목사 p.213 밑에서 6번째 줄부터 하겠습니다. 제목부터 봅시다. “언약과 주체의 발생”. ‘언약과 주체’에서 이 둘 사이에 ‘언약과 인간’이라 해도 되는데 왜 ‘주체’라고 이야기했느냐 하면 언약의 안목에서 볼 때 인간은 없습니다. 인간은 있을 수가 없어요. 인간과 주체의 차이점은 뭐냐 하면 인간이 죄인으로 있어야 되거든요. 죄인으로 있는 것이 옳거든요, 언약적 입장에서. 선악과 따먹었으니까 죄인으로 있는 게 옳은데 인간들은 자기를 주체로 변장합니다. 인간은 하나의 류(類)가 되죠, 집단. 전체를 보편화시킬 때 인간류 또는 인간이라 할 수 있는데 주체는 무엇이 강렬하냐 하면 개별성, 개인성이 상당히 강렬해요. 신처럼 되겠다는 것을 다른..

광주강의 2021.11.28

5.생명됨

광주강의20211022a 요한복음 1장 14절(생명됨)-이 근호 목사 p.212 위에서 6번째 줄 보겠습니다. “땅의 백성들이 추구했던 정치적 권력은, 평소에 짐승이 작업 해 놓은 업적이다. 즉 땅의 백성들은 그리스도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같이 생긴 짐승을 내심 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스도란 메시아인데 그 메시아는 땅의 백성들이 요구하는 메시아. 주님이 스스로 나타나는 메시아가 아니고 하나님이 원하는 메시아가 아니고 땅의 백성들이 원하는 메시아. 그런데 땅의 백성들은 지금 배후에 짐승의 지배를 받고 있잖아요. 그러니까 짐승이 원하는 메시아. 그 메시아를 땅의 백성들이 원했고 정작 그들에게 나타난 것은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아이고. 여기서 그 관계가 순조롭게 만날 수 없죠. 그래서 p.212..

광주강의 2021.10.24

4.이스라엘의 이질성

광주강의20210924a 민수기 25장 3절(이스라엘의 이질성)-이 근호 목사 211페이지 중간부터 ‘짐승’에 대해서 언급되어 있습니다, 짐승. 원래 창세기 1장에서 짐승은 인간들과 더불어 6일째 만들어졌고 인간하고 별로 관계없다고 여겼는데 창세기 2장에서 지혜로운 짐승 중 하나인 뱀이 인간의 운명에 결정타를 날리게 됩니다. 그래서 인간과 짐승은 사이가 안 좋아지겠죠. 안 좋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인간의 망가짐 속에 짐승의 관여가 포함되어 있어요. 그리고 여기 지금 우리가 하는 게 다니엘이잖아요. 다니엘에서는 ‘바다에서 온 짐승’에 대해서 또다시 언급하고 있습니다. 짐승이라는 의미는 ‘실체(實體, substance)’가 있다. 또 다른 말로 하면 ‘실재(實在, reality)’다. 또 다른 말로..

광주강의 2021.09.26

3.추상성

광주강의20210723a 고린도전서 7장 30절(추상성)-이 근호 목사 211페이지, 위에서 7번째 줄 할 차례입니다. 지난번에 위에서 6번째 줄에 “인간이 짐승의 지배 밖으로 따로 주체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자, 이런 말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지금 문장이 다 어렵거든요, 함축한다고. 풀이하면 너무 양이 많아지니까 함축해서 이렇게 하는 겁니다. ‘짐승을 모르면 시작도 하지 않았다.’ 짐승을 모르면 신앙 시작도 안 했다는 거죠. 왜냐하면 인간이 극단적으로 사유(思惟), ‘사유’라는 말이 어려우니까 생각 또는 연구 또는 탐색 또는 탐구하게 되면 자신의 대립물과 일치됩니다. 선과 악에 있어서 인간은 자기를 선한 존재로 간주하고 선(善)쪽으로 도망치잖아요. 도망치고 보다 더 선, 궁..

광주강의 2021.07.25

2.예상

광주강의20210625a 누가복음 6장 32절(예상)-이 근호 목사 오늘은 209페이지 다니엘 70이레의 비역사적 해석, 209페이지 밑에서 여섯 번째 줄에 “인간의 주체성은 명목상 ‘역사’라는 개념으로 표현되는데” 그렇게 되어 있죠. “인간의 주체성은 명목상 ’역사‘라는 개념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 인간, 그 다음에 나오는 단어가 주체성, 그 다음에 역사, 역사라는 개념. 만약 인간이 없다면 주체성 없게 되고, 역사 없게 됩니다. 그래서 이 세 가지를 다 없애는 것, 이것이 하나님이 하실 일이에요. 하나님의 하시는 일이 인간 없애고, 인간 없애면 주체성 없고, 주체성 없으면 역사 없는 겁니다. 하나님이 하시고자 하는 일이 이거 다 없애는 거에요. 인간, 주체성, 역사 다 없애는 겁니다. 없앤다는 말은,..

광주강의 2021.06.27

1.함께 하심-70이레해석

광주강의20210528a 여호수아 22장 31절(함께 하심)-이 근호 목사 오늘부터는 광주모임에 이 책 뒤에 부록으로 나와 있는 ‘다니엘 70이레에 대한 비역사적 해석’이라는 글로 하겠습니다. 이것은 서울 강남에 있는 합동 정통 신학교에서 있었던 한국개혁주의 신학회 정기모임 논문발표에서 자기들, 신학자들만 논문 발표하지 말고 목회자 중에서 발표하도록 해서 신학자들이 추구하는 것과 목회자들이 추구하는 것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를 한번 알아보겠다고 해서 목회자로서 제가 여기에 발표한 겁니다. 다니엘 70이레 대한 해석이란 말 앞에 ‘비(非)역사적’ 해석이라 했거든요. 해석 말고 비역사적 해석이니까 결국 인간의 의식에서 나오는 해석은 비역사적 해석이라는 것이 나올 수 없습니다. ‘의식이란 ..

광주강의 2021.05.30

땅이 사라짐

광주강의20210423a 마가복음16장 19절(땅이 사라짐)-이 근호 목사 마가복음 16장 19절-20절 말씀입니다. “주 예수께서 말씀을 마치신 후에 하늘로 올리우사 하나님 우편에 앉으시니라 제자들이 나가 두루 전파할새 주께서 함께 역사하사 그 따르는 표적으로 말씀을 확실히 증거하시니라” 마가복음 마지막 시간 같아요. 예수님께서 하늘로 올라갔죠. 하늘로 올라갔다는 것은 땅이 사라졌다는 겁니다. 땅 자체를 없애버리는 거예요. 그 이유가 하늘로 올라갔을 때 땅이 땅으로 행세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전부다 앗아가 버렸거든요, 땅이 땅일 수밖에 없는 조건. 천지를 창조할 때 땅이 땅일 수밖에 없는 조건은 두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시간, 하나는 공간. 시간과 공간을 누가 뺏아 갔느냐 하면 주님이 와서 쏵 뺏아 ..

광주강의 2021.04.25

부활의 능력b

광주강의20210326b 마가복음16장 16절(부활의 능력)-이 근호 목사 첫 번째 시간의 끝에 성도는 이미 본의 아니게 영적 세계에 들어왔어요. 영적 세계라 할 때 제일 큰 특징은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보이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거니까 보이는 것은 보이는 것대로 처리하고 뭐 보이지 않는 것은 같이 겸해서 다 알고 살면 되지 않겠느냐 이렇게 생각하는데 이 보이는 것이 영적 세계를 핍박해요. 핍박을 합니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십자가 사건이죠. 십자가 사건에서 그 당시 로마 군병들이 예수님을 놀리는 것, 그것은 충분히 이해가 되죠. 그런데 베드로, 이 사람은 뭡니까? 도망간 제자들은 뭡니까? 또 가룟유다는 뭐에요? 베드로가 왜 예수님을 배신했습니까, 닭 울기 전에 세 번이나 배신한 이유가 뭡니까? ..

광주강의 2021.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