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전후서 14

함평14강

제14번 열세 번째 강의, 마지막 시간하도록 하겠습니다. 베드로전후서를 통해서 베드로가 하고 싶었던 것은 고난이 있는 것이 당연한데 교회가 고난에 대해서 뭔가 두려워하고 이것은 정상적인 사태가 아니야. 라고 느낀다면 그렇게 느끼는 너희들이 뭔가 정확하게 주님의 복음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했는가가 의심스럽다는 겁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심판이 교회의 집부터 시작되는데 하나의 예를 들면 현재 우리도 마찬가지거든요. 베드로후서 2장에 보면 방탕 하는 자, 호색하는 자들이 있다. 라고 했을 때 우리가 지난번에 했던 공식을 한번 집어넣어 봅시다. 정말 성도라면 뭣과 뭣 사이의 갈등이라고 했습니까? 선과 악 사이의 갈등을 일으키는 이 자아와 그리고 그것과 상관없이 주님의 속죄 받은 용서받은 그런 자아 사이의 갈등이라고..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13강

제13번 열두 번째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어제 밤에 제가 약간 잠을 설쳤는데요. 잠을 설친 이유가 뭐냐 하면은 어제 우리 서경수 목사님 방에서 이야기 가운데서 제가 약간 쇼크를 받았어요. 어떤 쇼크를 받았느냐 하면 첫 번째 강의 있잖습니까? 서경수 목사님이 첫 번째 강의가 철학적이라서 잘 이해가 안 된다 할 때 그때 약간 멈칫 흔들렸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저는 모든 것을 계속 허물고 모든 것을 다시 세우는 그것이 부활하신 하나님의 작업인 줄 알았는데 일장이 만약에 어렵게 되면 일장에서 한 이야기가 모든 것을 지금 다시 허물어도 괜찮습니다. 하는 쪽으로 제가 이야기했거든요. 모든 것이 허물어도. 이상원 목사님은 일번을 못 들어서 그런데. 예수라는 것, 믿음이라는 것, 뭐 우리가 공부하는 것, 베드로전후..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12강

제12번 개혁노회 개회설교 누가복음 16:29-31 29 아브라함이 가로되 저희에게 모세와 선지자들이 있으니 그들에게 들을지니라 30 가로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만일 죽은 자에게서 저희에게 가는 자가 있으면 회개하리이다 31 가로되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 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 하였다 하시니라 이 대목은 거지 나사로가 천국에 가고 난 뒤에 지옥 간 부자와 아브라함과의 대화한 것이 이 대목입니다. 여기에서 우리에게 약간의 충격을 주는 것은 어떤 사실이야 하면은 죽은 나사로가 다시 살아났으면 사람들은 대다수가 아, 천국과 지옥이 있구나. 정신 차려야 되겠다. 이렇게 쇼크를 먹고 예수님의 말씀, 하나님의 말씀을 잘 들을 걸로 우리..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11강

제11번 열한 번째 강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예수님께서 자기가 이루신 그 공로를 왜 무상으로 아무 의가 없는 우리에게 그냥 줄 수 있는 근거가 어디 있느냐? 그것에 대해서 아까 제가 신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멀다했는데 이것은 시작부터 잘못된 겁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가 거리가 멀어서 그것을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 중보자가 오신 게 아닙니다. 아니고 새로운 인간을 이미 생각해 놨던 사전에 미리 하나님께서 창세전에 예상해 놨던 생각했던 그 새로운 인간을 이 지상에서 죄 가운데서 사랑으로만 새로 창조하기 위해서 새로운 피조물 만들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이미 인간이 있고 신이 있는데 그 인간을 불쌍히 여겨서 신의 나라에 넣어주기 위해서 예수님께서 사후적인 조치로서 예수님이 오신 것이 아니고..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10강

제10번 몇 번째 입니까? 열 번째 강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한 단숨에 왔는데 제가 주장하는 이론이 뭐냐 하면은 이 베드로전서의 모든 하라하는 명령은 아무리 하려고 해도 우리는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없다. 그리고 이 명령은 만약에 우리가 하려고 한다면 내용을 곡해해서 시도하기 때문에 열심히 해봤자 본래의 성경에서 요구하는 그 내용과는 서로 사맛디 아니할쌔, 서로 맞지를 않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을 보면서 우리가 전혀 못하는구나, 우리 자체적인 능력, 잠재적인 능력 가지고는 성경을 천 번을 봐도 그 하나라도 우리가 지울 수 없구나. 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성경이다. 라는 것이 지금까지 오늘 이번에 강의하면서 줄기차게 주장했던 제 이론입니다. 맞는지 안 맞는지 여러분들이 판단을 열심히..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9강

제9번 자, 아홉 번째 강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게 아까 보충수업까지 합쳐서 아홉 번째일 거예요. 베드로전서 4장 6절에 보면 "이를 위하여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으니" 라는 말이 나오지요.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다. 이 말은 그 뉘앙스가 어떤 뉘앙스냐 하면 너희들이 아무리 농땡이 부리고 아무리 너희들은 하나님이 뭐고 예수고 다 귀찮다. 나는 내 마음대로 내 욕대로 내 신체의 욕망대로 살래. 라고 퍼드러지더라도 하나님은 안 노신다 이 말입니다. 아주 바빠요. 이 분은. 휴식 시간도 없고. 성경에 보면 놀지도 않으시고 주무시지도 않으시고. 그렇게 지금 이 작업을 쭉 해오고 있어요. 베드로전서 3장이나 4장에 나오는 이 모든 조항들을 시시때때로 우리에게 심어주면서 봐라, 네가 이렇게..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8강

제8번 퇴보한다. 이것이 자본주의 사회의 법칙입니다. 이 법칙을 많은 학자들이 자본주의가 왜 그렇게 되는가를 법칙을 지금도 연구하고 있어요. 왜 자본주의는 환경 살리기와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개선을 겸하여 할 수 없는가를 연구해 보니까 그 자본주의의 밑바탕에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 때문에 욕망이 경쟁을 낳고, 경쟁이 한 쪽에는 다윈의 진화론에 도태를 낳고 이것이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파급이 되면 이제는 죽기 아니면 살기로 경제 전쟁에 뛰어들 에너지 전쟁에 뛰어들 판이기 때문에 환경에 대해서 뭐 감시한다든지 그렇게 되는 거예요. 만약에 그것에 대해서 반대한다면 그것은 뭐냐 하면 바로 WTO나 이런데 반대하는 그린필드라든지 그런 단체에 가입해야 돼요. 아니 그린피스에 가입하든지 안 그러면 홍콩에 농민시위하든지 ..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7강

제7번 여섯 번째 보충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12시까지 조금만 더하다가 마치겠습니다. 베드로전서 2장 18절 봅시다.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복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 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Servants, be subject to your masters with all fear; not only to the good and gentle, but also to the froward. 여기 보면 두려워함으로라는 말이 나와요. 이것은 무엇을 뜻하느냐 하면은 따로 자기가 마지막 사수할 힘조차 나에게는 가질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내가 나를 지탱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 같은 자존심 같은 것도 그것도 십자가 앞에서는 그것은 사실은 있으나마나 소용없는 일이기 때문에 그..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6강

2006 함평겨울수련회 (강사:이근호 목사) 베드로전후서 강의 제6번 여섯 번째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베드로전서 2장 9절을 제가 읽어보겠습니다.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이미 차별해서 우리가 스스로 선택해서 차별된 것이 아니고 우리를 차별화시키고 구분시키는 주도권을 쥐고 계신 분이 바로 부활하신 분의 영력에 의해서 구분되었습니다.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이 개념들이 무슨 개념인지 이 세상에서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부활의 능력에서는 이 개념이 통하고 이 지상에서는 이 개념은 인정을 하지 않습니다. 저는 택하신 족속인데요, 혹시 소주 하나 주세요, 이것 안 통합니다. 그런 것은 전혀 통하지 않는 거예요. 통하지 않는 원칙에 따라 산다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 일이냐? 세상이 인정하지 ..

베드로전후서 2022.03.19

함평5강

제5번 다섯 번째 강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천년이 하루 같고 하루가 천년 같다는 것은 인간들의 시간 개념에 대해서 우리 하나님께서 동의를 해주지 않겠다는 겁니다. 인간들의 어떤 시간 개념을 가지고 자기 나름대로 순서를 정하든 그것 하고 하나님 일하시는 것 하고는 전혀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일을 하시는 겁니다. 이것은 한 마디로 말해서 주도권이에요. 부활이라는 것은 일종의 권력입니다. 부활 상태는 권력 상태고, 권력 상태는 주도권이 누구한테 있느냐 하는 세상의 모든 주도권이 누구한테 있느냐 이렇게 합니다. 성경말씀은 이 주도권이 말씀에게 있다. 기록된 말씀, 하나님의 말씀 다 되는데 이 하나님의 약속, 하나님의 예언, 하나님의 말씀의 존재가 여기에 다 매달려 있다. 이거에요. 사람이라는 것은 어떤 일이..

베드로전후서 202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