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강의 232

495강-YouTube강의(칼 창세기 27:40)20250318-이 근호 목사제495강, ‘칼’. 보통 사람이 요리사나 또는 미용사나 사람이 칼을 들고 있죠. 그런데 칼이 사람을 들고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 있습니까? 칼이 사람을 들게 하는 사람이 창세기 16장 12절에 보면 나옵니다. 거기 누가 나오느냐 하면 이삭보다 열세 살 형이 되어있는 사람, 이스마엘이에요.이스마엘과 이삭은 아버지가 같아요. 아브람으로 같습니다. 같은데 그건 이스마엘 생각이고, 이삭의 경우는 아브람이 아버지는 맞아요. 그러나 자기 출생에 더 근원에 접근해보면, 자기 아버지는 아브람이 아니고 아브라함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내가 너를 낳았다.’를 하지 못하도록 아들이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를 낳는 그러한 현상을 하나님이 지상에..

유튜브강의 2025.03.21

내일 일

494강-YouTube강의(내일 일 잠언 27:1)20250318-이 근호 목사제494강, ‘내일 일’. 내일이라는 것은 저절로 온다고 생각하잖아요. 그런데 ‘내일’이라는 시간은 우리가 만들어냅니다. 그 이유는, 옆 사람의 시간과 내 시간이 달라요. 왜 다르냐 하면, 인간이 하는 일이 그 사람 고유의 자기만의 시간 계열을 연장시키고 내용을 채우는 거예요. 그 내용을 채우면 자기가 채운 그 시간의 계열은 그건 자기의 기억이 되고요. 그 기억이 자기 자아의 구성요소가 돼요.그러니까 남들 보기에 똑같은 사건이 일어나도 내 기억 속에 들어오지 않으면 그건 남의 시간이지, 나의 시간이 아니에요. 그러니까 시간이라는 것은 어때요? 굉장히 이기주의가 돼요. 이기적이고 오로지 자기만을 위한 시간이고. 자기만을 위한 시..

유튜브강의 2025.03.21

애굽의 장자

493강-YouTube강의(애굽의 장자 시편 136:10)20241217-이 근호 목사제493강, ‘애굽의 장자’. 시편 136편 10절에 보면 이런 말씀 나옵니다. “애굽의 장자를 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애굽의 장자는 애굽인에게 제일 소중한 자들입니다. 장녀가 아니고 장자.왜 장녀보다 장자가 더 소중하냐? 대를 이어간다는 것은 옛날에 여자는 시집을 가버리면 성씨가 다른 집안사람으로 소속이 돼요. 딸을 낳아 시집가면 저쪽 사람이 돼요. 딸이 시집가면 시집사람으로 호적이 올라가기 때문에 탈락이죠. 내 가정에서는 탈락이 되는 겁니다. 서양에서도 여자가 결혼하면 성(姓)이 바뀌어요. 이제 그쪽 사람이니까 성이 바뀌는 거예요.그래서 이 장자라는 것은 자식, 내 자식이 있고 아들이 있음..

유튜브강의 2024.12.18

음녀

492강-YouTube강의(음녀 잠언 7:25)20241217-이 근호 목사제492강, ‘음녀’. 잠언 7장 18-27절을 보게 되면 다윗의 아들 솔로몬이 자기 아들,이스라엘 백성을 이야기하죠,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의사항을 언급하면서 음녀에 대해서도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잠언의 내용은 기준이 있는데요. 잠언에서 말씀을 주는 조건 중 하나가, 생명이라는 것이 원래 인간에게는 없어야 되는데 특별히 이스라엘 백성, 다윗에 속한 이스라엘 백성한테는 생명을 허락한 길을 제시했다. 이게 전도서, 잠언, 시편, 아가, 욥기도 포함되어 있고요, 그렇게 제시되어 있습니다.생명이라는 것이 인간에게는 없어요. 없는데 주시는 겁니다. 상당히 색다르죠. 그런데 그 생명은 어디에 있느냐? 솔로몬이 다윗의 자손에 따른 왕이니까 ..

유튜브강의 2024.12.18

소원

491강-YouTube강의(소원 에스더 5:3)20241203-이 근호 목사제491강, ‘소원’. 사람들에게 살아가는 보람이 자기 안에 있는 소원이 달성되는 데 에 있거든요. 사는 재미가요. 보통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소원’이라 하는데 인간의 정신 같은 것을 파악하는 그런 세계에서는 이걸 ‘욕망’이라고 이야기합니다.소원이라고 한다면 별로 나쁘다는 인식이 없어요. 사람은 소원이 있잖아요. 어릴 때 부모가 어린아이에게 “크리스마스인데 산타클로스 할아버지 오시면 네가 뭘 갖고 싶어? 산타클로스 할아버지는 네 소원을 들어주신대. 어떤 거 갖고 싶어?” 할 때는 그 소원을 이야기하는 애한테 “네가 정말 마음씨가 못됐구나.” 뭐 이렇게 나무라고 그런 거 없죠.사람이 살아가는 활기나 에너지는 소원 성취에 있다는 걸..

유튜브강의 2024.12.04

훈계

490강-YouTube강의(훈계 잠언서 23:24)20241203-이 근호 목사제490강, ‘훈계’. 잠언서에 보면 ‘훈계’라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잠언서 6장 20절에 “내 아들아 네 아비의 명령을 지키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고” 그렇게 되어 있죠. 이스라엘에 있어서 하나님의 율법 안에 있도록 하나님께서 조치를 했습니다.이스라엘은 그냥 이방나라처럼 혈육과 혈육의 관계, 그런 나라가 아니에요. 그럼 이방나라하고 똑같이 되거든요. 그래서 이스라엘이 이방나라와 차이점은 뭐냐? 그들의 혈육적인 관계 속에서 하나님의 훈계와 법도, 율례 이런 것으로 서로 연결되게 되어 있는 나라에요. 그 특수성, 그게 이스라엘이 다른 민족과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러면 아버지가 있고 자식을 낳게 되죠. 세상 사람..

유튜브강의 2024.12.04

공부

489강-YouTube강의(공부 전도서 12:12)20241119-이 근호 목사제489강, ‘공부’. 나이 칠십이 된 어떤 사람이 고백하기를, 자기가 결혼하기 전 젊었을 때 자기는 꿈이 있었다는 겁니다. 고등학교 다니면서 자기가 은행장이 되는 게 꿈이었다. 그런데 그 사람이 젊을 때 철딱서니가 없어서 나쁜 친구하고 어울리면서 부모 말 안 듣고 기분에 빠져서 기분에 휩싸여서 ‘공부 뭐 나중에 하지. 지금은 즐길 때야.’해서 뭐 원 없이 신나게 즐겼다는 거예요.이 고백을 누가 하느냐 하면 한적한 깊은 산골에서 농사짓는 어떤 농사꾼, 나이 칠십 된 농사꾼이 이 고백을 하는 거예요. 은행장, 은행 지점장 이야기하는 거겠죠, 은행 지점장이 되는 게 꿈이었는데 지금 자기는 산골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산골에서 농사..

유튜브강의 2024.11.20

청년 잠언

488강-YouTube강의(청년 잠언 20:29)20241119-이 근호 목사제488강, ‘청년’. 어린 아이들은 청년의 때를 지나가게 되어 있고, 연세가 좀 드신 분은 청년의 때를 지나왔어요. 나이 육십 되어서도 ‘청년이다’ 하는 것은 일방적 주장이고, 다른 사람은 그렇게 안 보죠. “당신은 중년입니다. 곧 늙은이 됩니다.” 그럴 때 청년이라 주장하는 사람은 얼마나 섭섭하겠습니까? “아직도 내 생각은 팔팔하다.” 이렇게 이야기하죠.성경에서는 인생을 어린아이, 그리고 청년, 노년 대체로 세 등분으로 나눕니다. 나누어서 한쪽은 세월이 갈수록 나이가 먹을수록 줄어들게 되어 있고 한쪽은 늘어난다고 그렇게 성경은 말하고 있어요. 무엇이 줄어들고 무엇이 늘어나는가?어릴 때부터 젊은 사람 될 때까지 그들이 인생을 ..

유튜브강의 2024.11.20

생명의 종류

487강-YouTube강의(생명의 종류 레위기 11:13)20241105-이 근호 목사제487강, ‘생명의 종류’. 생명에도 종류가 있나 생각이 들 거예요. 생명에도 값나가는 생명 따로 있고 허름한 생명 따로 있고 무시해도 되는 생명 따로 있고 소중한 생명 따로 있나 그렇게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생명에서 어떤 격의 차이가 난다는 게 아니고 생명의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말씀드리려 하는 겁니다.레위기 11장 13절에 보면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찌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어응과 매와 매 종류와” 이렇게 되어 있어요. 레위기 11장 앞에 2절을 보면 “육지 모든 짐승 중 너희의 먹을만한 생물은 이러하니” 이렇게 되어 있어요.이걸 좀더 분명히 이야기하면 창세기 ..

유튜브강의 2024.11.07

줄 것과 받을 것

486강-YouTube강의(줄 것과 받을 것 전도서 12:9)20241105-이 근호 목사제486강, ‘줄 것과 받을 것’. 준다는 것은 출발점이 나한테 있죠. 그러니까 인간은 줄 것 주고 받을 걸 받는다는 생각을 갖게 되는데, 그거 문제점 있어요. 왜 그러느냐 하면 출발을 어디서 해야 되는가? ‘내가 없었다’부터 출발을 해야 돼요.만약에 ‘내가 있다’부터 출발해버리면 줄 것 주고 받을 것 받아요. 그럼 항상 모든 대인관계에 있어서 ‘이게 나한테 이익이냐 손해냐’가 모든 행동의 개시점이 되어버려요. 있음을 있음으로 계속 붙들어 매야 되니까. 인생이라는 것, 우리의 삶이라는 것은 생각해보면 간단해요. 나 있는 것을 나는 양보 못 하겠다, 그것부터 이제 출발을 하는 겁니다.이게 아주 어린 애, 갓난애는 모르..

유튜브강의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