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강의 90

하나님의 음식물

20230303a 울산강의-역대기상(18강) 16장 22절 : 하나님의 음식물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16장 22절, “이르시기를 나의 기름 부은 자를 만지지 말며 나의 선지자를 상하지 말라 하셨도다” 다윗이 예언하면서 그 백성들에게 선지자와 왕의 입장에 서서 장차 하나님께서 어떻게 일하시는가를 보여주는 그 대목입니다. 하나님께서 다윗 왕을 통해서 나타나셨을 때 이걸 언약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언약의 특징은 특정 인물로 나타난다. 그럼 이건 무엇과 대조되느냐 하면, “평소에 나는 누구 쳐다보고 사는가?” 이것과 대조하면 대번 알 수가 있지요. 이게 사람들은 두 개를 이야기해요. 하나는 나는 나를 쳐다본다. 두 번째, 나는 하나님(신)을 쳐다본다. 나는 나를 보고 그리고 나는 하나님을 쳐다보고 ..

울산강의 2023.03.06

말려든 자

20230203a 울산강의-역대기상(17강) 16장 16절 : 말려든 자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16장부터 하겠습니다. 역대상 16장의 보면 하나님의 궤가 나옵니다. 궤는 상자인데 하나님의 상자, 그냥 궤짝이죠. 이 궤짝에 사무엘상 6장 19절, 20절에 보면, “벧세메스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들여다 본고로 그들을 치사 (오만) 칠십 인을 죽이신지라” 돼 있어요. 언약궤란 상자를 봤는데 하나님께서 70명을 죽였습니다. 그러면 이 말은 뭐냐 하면 상자 바깥과 상자의 안의 세계가 다르다는 이야기입니다. 너는 상자 밖에 있고 하나님은 어디 안에 있다? 상자 안에 들어있는 거예요. 상자 바깥에 있는 인간이 상자 안의 세계를 마치 자기 세계인 양 호기심을 갖고 들여다본다면 그것은 뭐냐 하면 곧 죽음..

울산강의 2023.02.06

언약궤의 최종성

20221202a 울산강의-역대기상(16강) 13장 11절 : 언약궤의 최종성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언약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언약궤는 형체가 있습니다. 언약궤는 형체가 있는데 예수님의 부활은 형체가 없어요. 방주가 형체가 있습니다. 성전도 형체가 있지요. 구약 때. 구약의 특징은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는 거예요. 그리고 구약에 있는 선지자들, 사람들이죠. 왕, 사람들입니다. 눈으로 보입니다. 그 사람들을 의존하고 그 사람들의 지시에 따르고 명령에 따르고 그 사람들에 대해서 복종하게 되면 승리가 주어지는 것이 이스라엘의 특징이죠. 좀 어렵지만 쭉쭉 나가겠습니다. 약간 어렵게 이야기하겠습니다. 이스라엘, 전쟁 전문으로 하는 나라에요. 하나님께서 이렇게 집어넣어준 거예요. 왜 전쟁을 하는가..

울산강의 2022.12.05

도래와 미래

20221104a 울산강의-역대기상(15강) 13장 2절 : 도래와 미래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15장 1절, “다윗이 다윗성에서 자기를 위하여 궁궐을 세우고 또 하나님의 궤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고 위하여 장막을 치고 가로되 레위 사람 외에는 하나님의 궤를 멜 수 없나니 이는 여호와께서 저희를 택하사 하나님의 궤를 메고 영원히 저를 섬기게 하셨음이니라 하고 이스라엘 온 무리를 예루살렘으로 모으고 여호와의 궤를 그 예비한 곳으로 메어 올리고자 하여 아론 자손과 레위 사람을 모으니 그핫 자손 중에 족장 우리엘과 그 형제 일백 이십인이요” 1절부터 5절까지 나와 있지요. 다윗이 본인이 해야 될 일이 무엇인가 분명히 합니다. 그것은 모든 백성을 한 곳에 모으는 것이에요. 모으기 위해서는 택한 자리..

울산강의 2022.11.07

시험전쟁

20221007a 울산강의-역대기상(14강) 12장 8절 : 시험전쟁 (강의:이근호 목사) 역대상 12장은 다윗이 한창 버림받았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다윗은 버림받은 자, 다윗은 버림받았어요. 국가로부터 민족으로부터 현재 왕 권력으로부터 버림받았어요. 기껏 따라다닌 사람은 600명 정도. 다윗이 버림받은 잔데 다윗이 뭘 하고 있느냐 하면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관계 잘 보세요. 버림받은 잔데 전쟁을 한다. 그러면 이 전쟁은 어떤 전쟁이냐? ①승리하는 전쟁이다. 승리해야 할 전쟁이다. ②시험받지 않아야 될 전쟁이다. 다윗이 한 전쟁이 둘 중에 어느 것이겠습니까? 보통 성경을 보면서 다윗 대목에 와서 사람들은 승리하는 것은 좋은 것이라고 보지요. 이 세상에서 승리하는 자가 제일 멋있는 사람처럼 보이잖..

울산강의 2022.10.10

인간에서 장소로

20220902a 울산강의-역대기상(13강) 11장 5절 : 인간에서 장소로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11장부터 하겠습니다. 11장 1절에, “온 이스라엘이 헤브론에 모여 다윗을 보고 가로되 우리는 왕의 골육이니이다 전일 곧 사울이 왕이 되었을 때에도 이스라엘을 거느려 출입하게 한 자가 왕이시었고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도 왕에게 말씀하시기를 네가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며 내 백성 이스라엘의 주권자가 되리라 하셨나이다 하니라“ 그다음에 3절부터 나오는 것이, “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헤브론에 이르러 왕에게 나아오니 다윗이 헤브론에서 여호와 앞에서 저희와 언약을 세우매 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 여호와께서 사무엘로 전하신 말씀대로 되었더라” 이렇게 되었어요. 말씀..

울산강의 2022.09.11

빈자리b

20220708b 울산강의-역대기상(12강) 10장 13절 : 빈자리 (강의:이근호 목사) 하나님께서 사울 왕을 죽임으로서 이스라엘이 망하는 게 아니고, 사울 왕을 죽임으로서 원래 이스라엘로 되돌렸습니다. 왕이 없어졌으니까 왕 자리를 비어있게 되죠. 그렇게 해서 사람들은 사울 왕이 왜 죽었느냐에 대해서 백성들은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었어요. 이것이 장차올 예수님의 모습과 똑같은데요. 세상이 이렇다면 예수님이 오셔서 가셨잖아요. 자, 소위 신학이라는 게 뭐냐 하면 성경을 가지고 인간의 이성으로 논리를 짜집기 한 게 신학이에요. 신학적으로 보게 되면 이렇게 돼요. 순서가 천지를 창조하셨다. 원주 특강할 때 이 그림을 그렸는데, ■천지를 창조했다. 그런데 인간이 ■범죄 하고 난 뒤에 타락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울산강의 2022.07.11

빈자리a

20220708a 울산강의-역대기상(12강) 10장 13절 : 빈자리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10장하겠습니다. 10장 1절에, “블레셋 사람과 이스라엘이 싸우더니 이스라엘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 앞에서 도망하다가 길보아산에서 죽임을 받고 엎드러지니라 블레셋 사람이 사울과 그 아들들을 추격하여 사울의 아들 요나단과 아비나답과 말기수아를 죽이고 사울을 맹렬히 치며 활 쏘는 자가 사울에게 따라 미치매” 그렇게 돼 있지요. 블레셋 사람과 이스라엘 사람이 싸운다. 성경에서는 무엇과 무엇이 싸우는지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인간 대 인간의 싸움, 이것 아닙니다. 성경에서 인간과 인간의 싸움은 인정하지 않아요. 인간 대 하나님의 싸움, 이것도 성립하지 않습니다.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끝까지 밀어붙이..

울산강의 2022.07.11

자리 배정

20220603a 울산강의-역대기상(11강) 9장 2절 : 자리배정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9장하겠습니다. “온 이스라엘이 그 보계대로 계수되고 이스라엘 열왕기에 기록되니라 유다가 범죄함을 인하여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갔더니 먼저 그 본성으로 돌아와서 그 기업에 거한 자는 이스라엘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과 느디님 사람들이라 유다 자손과 베냐민 자손과 에브라임과 므낫세 자손 중에서 예루살렘에 거한 자는 유다의 아들 베레스 자손 중에 우대니“ 이렇게 돼 있지요. 어떤 분이 우리교회에 중요한 질문을 한 거예요. 여기 “온 이스라엘이 그 보계대로” 보계, 계보. 그냥 족보로 보면 돼요. 질문이 뭐냐 하면 왜 이스라엘에 족보가 많습니까? 그냥 예수 믿고 구원 받으면 되지 거기에 왜 족보가 끼어듭니까, 족..

울산강의 2022.06.06

숨겨진 우리

20220506a 울산강의-역대기상(10강) 7장 2절 : 숨겨진 우리 (강의:이근호 목사) 오늘은 역대상 7장 1절에, “잇사갈의 아들들은 돌라와 부아와 야숩과 시므론 네 사람이며”라고 돼 있지요. 그다음에 7장 6절에 보면, “베냐민의 아들들은 벨라와 베겔과 여디아엘 세 사람이며” 그렇게 돼 있어요. 14절에 가면, “므낫세의 아들들 그 처의 소생은 아스리엘이요 그 첩 아람 여인의 소생은 길르앗의 아비 마길이니” 역대상 7장 20절에 보면, “에브라임의 아들은 수델라요 그 아들은 베렛이요” 그렇게 돼 있습니다. 30절에 보면, “아셀의 아들들은 임나와 이스와와 이스위와 브리아요 저희의 매제는 세라며” 이렇게 돼 있지요. 8장에 보면, “베냐민의 낳은 자는 맏아들 벨라와 둘째 아스벨과 세째 아하라와 네..

울산강의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