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땅의 일

아빠와 함께 2020. 8. 23. 09:09

title : Earthly Things 땅의 일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3:17-19
date : August 16, 2020

17.Join with others in following my example, brothers, and take note of those who live according to the pattern we gave you. 18.For, as I have often told you before and now say again even with tears, many live as enemies of the cross of Christ. 19.Their destiny is destruction, their god is their stomach, and their glory is in their shame. Their mind is on earthly things.

SUMMARY

The Apostle Paul's text today is not a message of advice to the recipients of his letter, saying, "Do not live as an enemy of the cross" or "Do not care about the earthly things." Rather, he is asking whether they are looking at the “work of the enemy of the cross” and “earthly things” from the same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hey are asking whether they are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dead (deceased)” who have already escaped from the world with Jesus like Paul himself.사도바울의 오늘 본문은 그의 편지 수신자들에게 ‘십자가의 원수로 살지 말라’ 혹은 ‘땅의 일에 마음을 쓰지 말라’는 충고의 메시지가 아니다. 오히려 그는 그들이 자신과 동일한 관점으로 ‘십자가의 원수의 일’과 ‘땅의 일’을 보고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들도 바울 자신처럼 예수님과 함께 세상에서 이미 빠져나간 ‘죽은 자(고인)'의 안목으로 세상을 보고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Because only the eye of the dead can properly define "earthly things" and "the work of the enemy of the cross." In today's text, Paul spoke of those who had no view of the deceased, saying, "Their destiny is destruction, their god is their stomach, and their glory is in their shame. Their mind is on earthly things.” 왜냐하면 죽은 자의 안목만이 ‘땅의 일’과 ‘십자가의 원수의 일’에 대해 제대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 본문에서 바울은 ‘고인’의 관점이 없는 자들에 대해서 “그들의 최후는 멸망뿐입니다. 그들은 자기네 뱃속을 하나님으로 삼고 자기네 수치를 오히려 자랑으로 생각하며 세상일에만 마음을 쓰는 자들입니다”라고 설명한다.

In other words, they live in self-centeredness, oppressed by invisible forces (the devil, the power of the world), pursuing only self-interest, self-convenience and self-satisfaction. Moreover, they are controlled by demons trapped in a closed structure of good and evil knowledge, but they have no right perception of such reality. Peter, who had tried to dissuade Jesus from dying, did not know whether his protruding behavior, which was considered right in his own opinion, was a "the things of men" caused by Satan(Mt.16:21-23). 즉 그들은 보이지 않는 힘(악마, 세상의 권력)에 억눌린 채로 자기중심으로 살며 자기이익과 자기편의와 자기만족만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더욱이 선악지식이라는 폐쇠구조 속에 갇힌 채로 악마에게 조종당하고 있지만 그들은 그 같은 현실에 대한 바른 인식이 전혀 없다. 예수님의 죽음을 극구 만류했던 베드로도 자기 소견에 옳게 여겨지는 그의 돌출행동이 사탄에게서 기인 된 ‘사람의 일’인지를 도무지 알지 못했다(마16:21-23).

On the other hand, believers are those who have already died with Jesus and have escaped from the world with Jesus, so they can see the world from a perspective that does not belong to “earthly things” That is the point of view of Genesis 3:15; "I will put enmity between you and the woman, and between your offspring and hers; he will crush your head, and you will strike his heel." 반면에 성도는 이미 예수님과 함께 죽었고 예수님과 함께 세상에서 빠져나왔기에 ‘땅의 일’에 속하지 않은 안목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된 자들이다. 그것은 곧 창3:15의 관점이다 ;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Jesus' death on the cross is the perfect fulfillment of Genesis 3:15, an event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God's enemy that God was veiled by humans. God's enemy (the devil) thought that he had eliminated Jesus, but God raised Jesus from the dead and made this Jesus, whom God's enemy crucified, both Lord and Christ (Acts 2:36).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은 창3:15절의 완전한 성취이며 하나님께서 인간의 의해 가려져있던 하나님의 원수의 정체를 드러낸 사건이다. 하나님의 원수(악마)는 예수님을 없앴다고 생각했지만 하나님은 예수님을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려내시고 하나님의 원수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님을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다(행2:36).

The saints are those newly created by God at the point where the heel of the woman's offspring was bitten by the offspring of the serpent (the enemy of God, the devil). These are those who originally belonged to the enemy of God and bit the heel of the Son of God. They were treated as dead on the cross with Jesus by God's unilateral action, and entered the kingdom of the Son as God's beloved children. The thing that happened to them bears the peculiarity of "a new thing of God's creation : “a woman will surround a man.(Jeremiah 31:22)" 성도는 뱀의 후손(하나님의 원수, 악마)에 의해 여자의 후손의 발꿈치가 물린 그 지점에서 하나님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자들이다. 이들은 본래 하나님의 원수에게 속하여 하나님의 아들의 발꿈치를 물었던 자들인데 하나님의 일방적인 조치에 의하여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은 자들로 처리되고,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녀로서 아들의 나라에 들어가게 된 자들이다. 이들에게 일어난 그 일은 ‘여자가 남자를 안으리라(렘31:22)’는 하나님의 창조의 새 것의 특이성을 품고 있다.

Therefore, the saints are those who have been called by God so as to fill up in their fleshes what is still lacking in regard to Christ's afflictions(Col. 1:24) at the place where they were newly created, at the heel of the offspring of the woman who was bitten by the offspring of the devil. Therefore, they suffer the same ridicule and humiliation that Jesus had suffered as they were attacked and hated by the world by the way of thinking and logic that the enemy of God (the enemy of the cross) had instilled in men. 그러므로 성도는 그들이 새롭게 지음 받은 그 자리, 곧 악마에 의해서 물어뜯긴 여자의 후손의 발꿈치의 자리에서 예수님의 남은 고난을 그들의 육체에 채우도록(골1:24) 하나님에 의해 부름을 받은 자들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하나님의 원수(십자가의 원수)가 인간들에게 주입한 사고방식과 논리에 의해 세상으로부터 공격당하고 미움 받으면서 예수님이 겪으셨던 동일한 조롱과 수모를 겪게 된다.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should experience why the world could not bear him, rejected him, and hated him as such, in the same way as the world. In other words, they must join the side of God's enemies and show them a reasonable reason why they are open graves full of rotting smell, and wild waves of the sea foaming up their shame, and wandering stars for whom blackest darkness has been reserved forever(Jude1:13). They thoroughly experience the limitations of "things of men" and "earthly things" that struggle to live, as Peter did.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들은 세상이 왜 그처럼 예수님을 견딜 수 없어하고 거부하고 미워했는지 세상과 한통속이 되어 온 몸으로 경험하기도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하나님의 원수 편에 가담하여 세상은 썩은 악취로 가득한 열린 무덤(롬 3:13)이며, 자기 수치의 거품을 내뿜는 바다의 거친 물결이며 영원히 예비된 캄캄한 흑암으로 돌아갈 유리하는 별들(유1:13)로 규정될 수밖에 없는 지 그 합당한 이유를 보여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들은 베드로가 그러했듯 살고자 몸부림치는 ‘사람의 일’과 ‘땅의 일’의 한계를 철저하게 경험하는 것이다.

They are also repeatedly brought to the scene of the Crucifixion by the Holy Spirit to show that the basis of Jesus' crucifixion was within them. But there, to their surprise, the Holy Spirit lets them burst out David's confession of Psalm 51 which the world cannot understand or bear ; “Against you, you only, have I sinned and done what is evil in your sight ...... Let me hear joy and gladness; let the bones you have crushed rejoice.” 또한 그들은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의 근거가 바로 자신들 안에 있었음을 보여주도록 성령님에 의해 반복적으로 십자가사건현장으로 데려와 진다. 그러나 거기서 놀랍게도 성령님은 그들에게서 시편 51편의 세상이 이해할 수도 없고 감당할 수도 없는 다윗의 고백이 터져 나오게 하신다. ; “내가 주께만 범죄 하였나이다 .... 나로 즐겁고 기쁜 소리를 듣게 하사 주께서 꺾으신 뼈로 즐거워하게 하소서”

This is because they have an eye for "earthly things" as an eye for "heavenly things(John 3:12)". It is revealed that everything that has happened on earth, including Adam's corruption and Israel's corruption and destruction, was deliberately determined by God so as to be the Lord of Jesus.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하늘의 일(요3:12)’의 안목으로 ‘땅의 일’을 살필 수 있는 안목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아담의 타락과 이스라엘의 패역과 멸망을 포함하며 땅에서 일어난 모든 일이 예수님의 주되심을 위하여, 하나님에 의해 의도적으로 작정되어졌다는 것이 밝혀진다.

The Bible introduces a person who shines like a star in the night sky, bearing the peculiarities of God's new creation in the darkness of the Old Testament, and she is Ruth. She would not complain about her situation as a widow or use the law for herself. Rather, she was glad and grateful for the fact that she was guided into the land of promise, as a cursed enemy of God and a Gentile without the law, and that she was honored to be a beggar who enjoyed the benefits of the law (Lev. 23:22).성경은 구약의 어둠 속에서 하나님의 새 창조의 특이성을 품고 밤하늘의 별처럼 빛나는 한 인물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녀가 바로 룻이다. 그녀는 과부가 된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불평하거나 자기를 위하여 율법을 이용하려 들지 않았다. 오히려 저주받아 마땅한 하나님의 원수이자 율법 없는 이방인에 불과한 그녀가 약속의 땅으로 들어오도록 인도받은 것과 거기서 율법의 혜택(레23:22)을 누리는 거지처지를 영광으로 여기고 기뻐하며 감사했다.

The position of the saints of New Testaments is no different from Ruth's. Therefore, they consider their lives intentionally destroyed by God for the sake of Jesus Christ as blessings and gifts and hear joyful and glad sounds at the scene of the cross. 신약의 성도들의 입장도 룻의 입장과 다름이 없다. 그러하기에 그들도 자신들의 삶이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하나님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허물어진 것을 도리어 복과 선물로 여기며 십자가 현장에서 즐겁고 기쁜 소리를 듣는 것이다.

이근호    ‘하나님의 원수’가 ‘십자가의 원수’로 드러난다는 사실은 그동안 꾸준히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자부하는 자들에게 낯설게 들릴 것이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존재 중심으로 세상을 평하시지 않고 십자가 중심으로 시선을 이동하신다. 그렇다면 참으로 성령받은 자들은 이러한 하나님 시선 과 같은 이동이 있게 된다. 악마가 깨물어 땅에 쏟아진 예수님의 피에 앞에서, 나의 구원욕구마저 나의 욕심에 해당됨을 안다. 말씀을 이용하지 않고 말씀의 결과로 살아가는 자가 성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