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강-YouTube강의(여력과 모자람 마태복음 5:17)20201208-이 근호 목사
제334강, 제목은 ‘여력과 모자람’. 여력과 모자람. 비슷한 이야기처럼 들리죠. 그런데 두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본인이 “나는 모자란다.” 이거하고, 그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이 “아이 모자라긴 뭘 모자라. 여력이 있어, 아직까지 힘 쓸 수 있어.” 할 때는 두 사람이 등장해서 동일한 상황에 대해서 한쪽은 본인은 모자란다고 주저앉고 다른 한쪽은 “그래도 여력이 있으니까 해봐.” 라고 격려한다든지 힘을 실어줄 때 자, 여기서 둘 중 누가 맞는가를 생각해보는 거죠.
인간은 홀로 있다고 생각하는데 홀로 있다고 생각해도 항상 주위에 나를 지켜보는 자가 있을 겁니다. 그러면 방구석에 혼자 있을 때 하는 행동과 그 방에 누가 확 들어왔을 때 사람은 달라지기 시작해요. 이 말은 타인에 의해서 내가 조종 받는다는 뜻입니다.
한 사람이 있을 때, 그것도 아주 잘 아는 사람이 있을 때의 행동과 생판 모르는 사람이 쑥 들어왔을 때 행동하게 되면 내 행동이 달라지겠죠. 그 말은 내 안에 내가 모르는, 변신이 가능한 무한한 내가 들어있다고 보시면 되는 겁니다.
지금 내가 미처 모르는 내 자신의 다른 요소들이 무한히 들어있어요. 들어있는데 내가 아는 사람이 오는 것하고, 내가 모르는 사람이 오는 것하고, 갑자기 고양이가 하나 뛰어드는 것하고, 갑자기 코로나 바이러스가 내 안에 들어와 걸리는 것하고 그때그때마다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내가 누군지를 새로 정립해야 됩니다, 사람은.
그러니까 제 말은 “내가 누구다. 나는 이렇다.” 할 때는 결국 상대를 보고 하는 이야기에요. 그 상황에 맞도록 상대를 보고 하기 때문에 그 상대에 따라서 본인은 굉장히 정직해보이죠. 맨날 하는 이야기가 “솔직하게 이야기하는데...” 굉장히 정직해 보이는데 그 사람 가고 다른 사람 왔다고 하면 다른 소리가 나와요. 본인도 그걸 조절할 수가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 나왔죠. 본인은 본인을 확고한 것으로 규정할 수가 없죠. 상대에 따라서 달라지죠. 그러면서도 인간은 상대가 네 사람이 다녀가냐 열 사람이 다녀가냐에 따라서 변하지 않는 게 있어요, 인간에게. 그걸 이 사람 저 사람 다 가는데 누가 그 현장의 맞은편에 오시느냐 하면 주님이 오십니다. 주님이 오시면 인간의 모든 자기조작은 끝났습니다. 이젠 끝나요.
그 주님이 오시면서, 마태복음 5장을 보겠습니다. 5장 17절에,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예수님 앞에 누가 있느냐 하면 바리새인들이 있습니다. 그 바리새인은 5장 20절에 보면,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의가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낫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이렇게 되어 있어요.
바리새인의 특징은 두 가지죠. 하나는 뭐냐, 천국을 고대한다. 두 번째 특징은 고대하는 방법을 본인들이 습득해 있다. 이렇게 두 가지 있습니다. 이건 오늘날 누굴 닮았어요? 교회 다니는 사람 닮았죠. 첫째는 천국 가고 싶다. 두 번째는 그냥 ‘가고 싶다’가 아니라 천국갈 수 있는 어떤 마음준비나 여러 가지 해온 것이 있다. 이게 바로 서기관과 바리새인의 태도와 똑같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대해서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주님께서 이미 엄포를 놔요.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고 했어요. 이 말은 뭐냐 하면 “너희들 천국 가고 싶어서 율법 지키지? 이것저것 빼기만 해봐라.” 그런 뜻이거든요. “내가 지킬 것만 지키고 미뤄둘 것은 좀 미뤄두겠다는 그런 사고방식을 하기만 해봐.” 라고 하는 거예요.
18절에 봅시다.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는 율법의 일점 일획이라도 반드시 없어지지 아니한다.” 이 말이죠. 그러니까 예수님이 그런 발언을 하면서 동일한 율법을 놓고 바리새인이 천국을 들어가기 위해서 율법을 몽땅 다 지키는 그 방법과 주님이 율법에 대해서 몽땅 다 지키는 방법을 내가 바리새인 너하고 나하고 한번 대조해보자는 겁니다.
그 바리새인 자리에서 바리새인과 서기관 빼고 저와 여러분을 한번 놓아보세요. 성경말씀 앞에 우리가 서 있잖아요. 성경을 왜 본다? 첫째는 천국 가고 싶고 둘째는 천국 가는 방법을 이 성경에서 얻기 위해서 하죠. 여기에 대해서 이 맞은편에 예수님이 딱 앉아있다고 보자 이 말이죠. 그러면 우리는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동일하게 변명과 핑계가 아주 늘어나요. “이건 바빠서 못했고 이건 쑥쓰러워서 못했고 이건 아직까지 내가 무슨 뜻인지 몰라서 뺐고 이건 좀 나중에 믿음 좋을 때 지키려고 남겨두었습니다.” 그렇게 하겠죠.
그런데 17절에 뭐라고 하셨습니까?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게 아니라 했죠. “‘5년 뒤에 다 하겠습니다.’ 하지 말고 지금, 지금 다 지키는 방법을 네가 구상해봐라.” 이 말입니다. 지금 다 지키는 방법. 어느 인간이 그걸 해냅니까. 모든 율법을 지금 다. 내일 죽을지 모르니까 오늘 밤에 네 영혼 데려가면 누구의 것이 되겠냐고 했으니까 오늘 밤이 마지막 밤이라면 마지막 밤에 이 성경 다 안 지키면 지옥 갑니다.
그렇다면 모든 걸 지켜야 되는데 자기 기억에 의하면 이건 뺐어, 뭔 뜻인지 몰라가지고. 이건 나중에 하겠다고 미뤄놨어요. 이건 하고 싶은데 돈 버는 일이 바빠가지고 나중에 하겠다고 미뤄놨어요. 갑자기 오게 되면 결국은 율법을 다 지켜야 되거든요. 백 개 줬으면 백 개를 다 지켜야 돼요. 안 지킨 한 개 때문에 사단 난다고요. 어느 인간이 구원 받겠습니까? 못 받습니다.
자,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겠어요? 율법이 문제겠습니까, 율법을 지키겠다는 인간의 의도가 문제겠어요? 인간이 율법을 지켜서 내가 원하는 천국 가겠다는 그 자세가 잘못 되었죠. 예수님께서 이렇게 언질을 주시고 마태복음 5장 26절에 보게 되면,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호리라도 남김이 없이 다 갚기 전에는 결단코 거기서 나오지 못하리라” 그 지옥, 옥에서 나오지 못하리라.
여기 제가 지옥이라 했는데 그렇게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일반적인 민사재판에서 돈 빌려놓고 다 갚기 전에는 감옥에서 못나오는 그 방법을 예수님이 활용했거든요. 그렇다면 일반 민사재판에서도 1000만원 빌렸는데 500만원만 갚으면 그냥 나오리라고 기대하지 말라 하죠. 1000만원 다 갚아야 나오거든요. 죄를 지었으면 죄 값을 다 치러야 나온다 이 말입니다. 사람도 그런데 이런 식의 율법이 구약에 있거든요. 그런 율법이 있다는 말은 하나님도 그 율법을 온전히 다 이루지 아니하면 절대로 천국에 들어올 생각하지 마란 뜻 아닙니까.
그러니까 결국 율법이라 하는 것은 천국에 못 간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서 율법을 준 거예요. 천국에 갈 수 없는 너 자신을 알라. 뭐 테스 형이 이야기한 거 같지만. 천국에 가지 못한다는 것을 평소에도 늘 명심하고 있느냐를 우리에게 묻는 겁니다.
성경 펼쳤습니다. 봅니다. 이 성경이 그냥 가만히 있지 않고 우리한테 지당한 당부를 합니다. 너는 이 성경대로 다 못 지키면 너는 구원받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성경이 지금 우리보고 해주시는 겁니다.
끝으로 이러한 이야기를 해준 것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성경말씀이나 하나님께 고맙습니까 아니면 섭섭합니까? 이게 고마워야 돼요. 만약 계속 지킨다면 악마에 속한 사람이에요. 아예 포기하게 만드는 이러한 축복, 이건 행운입니다. 아예 본인이 누군지를 알게 되는 그 행운, 그게 바로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게 아니고 나는 죄인을 부르러 왔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