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존재의 초과

아빠와 함께 2020. 3. 28. 07:32
2020-03-27 11:18:07조회 : 42         
Excess of one's Being이름 : 함숙경 (IP:121.149.196.6)
title : Excess of one's Being 존재의 초과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1: 15-18
date : March 22, 2020

15.It is true that some preach Christ out of envy and rivalry, but others out of goodwill. 16.The latter do so in love, knowing that I am put here for the defense of the gospel. 17.The former preach Christ out of selfish ambition, not sincerely, supposing that they can stir up trouble for me while I am in chains. 18.But what does it matter?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n every way, whether from false motives or true, Christ is preached. And because of this I rejoice. Yes, and I will continue to rejoice.

SUMMARY
In today's text, we can see that the excesses beyond the ego that cannot come out of the universal human ego are flowing from Paul the apostle, a man obsessed with the gospel by Jesus Christ. Paul hears that some people competitively preach Christ out of selfish ambition with envy, not sincerely, supposing to add affliction to his situation. These people played a imitation of the apostle Paul, taking advantage of that situation in which he was locked in prison. 오늘 본문을 보면 보편적인 인간의 자아에서 나올 수 없는, 자아를 초월한 초과적인 것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복음에 사로잡힌 자, 사도 바울에게서 흘러나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복음 때문에 옥에 갇혀 있는 그에게 어떤 이들이 질투와 시기심을 가지고 그의 매임에 괴로움을 더하게 할 줄로 생각하여 순전치 못하게 다툼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한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 사람들은 사도가 옥에 갇혀있는 이 상황을 기회삼아 사도의 흉내 내기 놀이를 했던 것이다.

In his eyes, it seems clear that these people are showing off his knowledge of the gospel they know in order to gain fame among their congregation, but it nevertheless could not make the apostle's joy go away. Rather, he communicates his heart to the brothers in Christ, saying “But what does it matter?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n every way, whether from false motives or true, Christ is preached. And because of this I rejoice. Yes, and I will continue to rejoice. 그의 안목으로 볼 때, 이 사람들은 자신들의 공명심 때문에 기존의 교인들에게 그들이 알고 있는 복음을 과시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 분명해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사도의 기쁨을 사라지게 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그는 “그러면 무엇이뇨 외모로 하나 참으로 하나 무슨 방도로 하든지 전파되는 것은 그리스도니 이로써 내가 기뻐하고 또한 기뻐하리라 ”고 그리스도 안의 형제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한다.

Here, the apostles do not question whether their actions are heretical or not, but note the phenomenon in which this dark world is referring to "Christ" He is not interested in his uncomfortable feelings, his honor, or his own profit or loss through this. Rather, he notes what others might miss out on this phenomenon: that Jesus is involved in such a thing. Through his rea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is matter, he uses it as an opportunity to newly convey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gospel to the saints. 여기서 사도는 그들의 행위의 이단성 여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이 어두운 세상이 ‘그리스도’를 언급하고 있다고 하는 그 현상에 주목한다. 그는 이 일로 말미암은 자신의 불편한 감정이나 그의 명예, 혹은 그 자신의 손익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 오히려 그는 다른 이들이 이 현상에서 자칫 놓칠 수도 있는 것, 즉 이 같은 일에도 예수님께서 개입하고 계시다는 그 사실에 주목한다. 그는 이 일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해석을 통해 이 일을 성도들에게 복음의 내용과 성격이 새롭게 전달되는 계기로 삼는 것이다.

Then, why is this jealousy and conflict in the process of preaching Christ? It is because people use the gospel or even the preaching of the gospel as a means to reveal their legitimacy. A universal human lives by bringing all sorts of good things to his side to prove his validity throughout his life. For them, Jesus is just one means to prove what they are. Humans' endeavors not to lose their 'ego' are persistent and stubborn. The reason they choose and believe in Christ is also because they couldn't give up on the existing 'ego'. This is because the evil spirit that wants to keep 'ego' beats humans. 그렇다면 그리스도를 전하는 과정에서 이처럼 시기심과 분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사람들이 복음 혹은 복음전파 조차도 자신의 정당성을 드러낼 수단으로 삼기 때문이다. 보편적인 인간은 일평생을 자신의 정당성 증명하기 위해 온갖 좋아 보이는 것들을 다 자기 쪽으로 끌어 모으면서 산다. 이들에게 예수님은 자신의 존재의 어떠함을 증명해줄 하나의 방편일 뿐이다. 인간들의 기존의 ‘나’를 잃지 않으려는 노력은 끈질기고 고집스럽다. 그들이 그리스도를 선택하고 믿고자 하는 이유도, 사실은 기존의 ‘나’를 포기하지 못해서이다. 이것은 ‘나’를 살리고 싶다는 악마의 정신이 인간을 이기기 때문이다.

The four major factions of the Jewish community at the time of Jesus well represent the Messiah's vision that humans desire. They are Sadducees, Pharisees, Qumran communities, and Zealot. Their claims, pursuits, and ways of life were different, but the consciousness that penetrated them all was the same. In other words, the Messiah who all of them wanted was such a Messiah who would comfort their wounded hearts and reward them for legitimacy of their actions that kept the law well, while to those who held on to a different ideology from them or who did harm to them would retaliate on their behalf, and finally make them happy forever. To put it in a word, the Messiah was supposed to be an almighty in their own interest. 인간들이 바라는 메시야상을 예수님 당시 유대사회의 대표적인 네 분파가 잘 대변해준다. 그들은 사두개인, 바리새인, 쿰란 공동체, 열심당원들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과 추구하는 것, 그리고 삶의 방식은 제 각기 달랐지만 그들 모두를 관통하는 의식은 동일했다. 즉 그들이 원했던 메시야는 그들의 상처 입은 마음을 위로해주고 율법을 잘 지킨 그들의 행위의 정당함에 대해 포상해주며 반면에 그들과 다른 이념을 견지하거나 그들에게 해를 끼친 누군가에게는 그들을 대신하여 보복해주며 마침내 그들을 영원히 행복하게 만들어 줄 그 같은 메시야였던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그들에게 메시야는 그 자신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전능자이어야 했던 것이다.

For them, the Messiah was not to make them give up their lives, but to strengthen their existence. If the Messiah was not the Messiah who would support them, they were ready to trample and discard the Messiah at any time. As a result, they blasphemed Christ in a way to seek and demand Christ. This is a different gospel, different Jesus, different Messiah from the gospel revealed and known to Paul. 그들에게 메시야는 그들의 목숨을 포기하게 하는 분이 아니라 자기의 존재를 더욱 확고히 해 주는 분이어야 했던 것이다. 그 메시야가 자신들을 지지해주는 메시야가 아니라면 그들은 언제든지 그 메시야를 짓밟고 버릴 준비가 되어있었다. 결국 이들은 그리스도를 구하고 찾아가는 방식으로 그리스도를 모독했던 것이다. 이것은 바울에게 계시되고 알려진 복음과는 다른 복음, 다른 예수, 다른 메시야이다.

The apostle Paul must also be an ordinary human being. However, for him, there is an excess of life beyond his being. This excess life is different from the life that is maintained by ‘bread’. This life is never a life of such a nature that human beings can generate or maintain by themselves. This life is the life that is obtained when one's existing ego is abandoned, and it is the life that human capacity cannot reach. The Lord said to this life, “"I tell you the truth, unless you eat the flesh of the Son of Man and drink his blood, you have no life in you(John 6:53).” In other words, this life is a new life made from Jesus 'flesh and blood, and it is the workmanship, masterpiece, and fruit of Jesus. 사도 바울 역시 보통의 인간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그에게서는 그의 존재를 초월하는 초과적인 생명이 나온다. 이 초과적인 생명은 ‘떡’으로 유지되는 생명과는 다르다. 이 생명은 인간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혹은 스스로 유지시킬 수 있는 그런 성질의 생명이 결코 아니다. 이 생명은 기존의 자아가 버려질 때 얻어지는 있는 생명이며 인간의 역량이 미치지 못하는 생명이다. 주님은 이 생명에 말씀하시기를, “내 살과 내 피를 먹고 마시지 아니하면 생명이 없느니라(요 6:53).”고 하셨다. 즉 이 생명은 예수님의 ‘살과 피’로 인해 새롭게 만들어진 생명이며 이것은 온전히 예수님의 솜씨요 작품이요 예수님의 열매이다.

In 2 Corinthians 5:15, Paul says: "And he died for all, that those who live should no longer live for themselves but for him who died for them and was raised again. " Therefore, the “life” we've wanted to hold on to so much before is made to be a life we are willing to throw away for Christ now. 고린도후서 5:15에서 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그가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심은 살아 있는 자들로 하여금 다시는 그들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그들을 대신하여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신 이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라” 따라서 전에 그토록 우리가 지키고 싶어 했던 그 ‘목숨’이 이제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기꺼이 버리는 목숨이 된다.

As such, the gospel generates a separate, unfamiliar “ego” that one's existing ego has never expected. This “ego” is a “ego” that began anew in the flesh and blood of Jesus, which humans have united and trampled upon. The Lord puts another ego into the saint that the existing ego did not expect, and the ego of the saint is then divided into two different egos. The new ego among them becomes the ego that another existing ego cannot follow. As a result, the new ego from the flesh and blood of Jesus is made separated from the old ego from Adam. 이처럼 복음은 기존의 자아가 전혀 예상 못한 별개의 낯선 ‘자아’를 따로 만들어낸다. 이 ‘자아’는 인간들이 단합하여 처절하게 짓밟아 버린 그 예수님의 살과 피에 의에서 새롭게 시작되게 된 ‘자아’이다. 주님은 기존의 자아가 예상 못한 다른 자아를 성도 속에다 집어넣으시는데 그렇게 되면 성도의 자아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아로 나누어진다. 그 중의 새로운 자아는 또 다른 기존의 자아가 쫒아갈 수 없는 자아가 된다. 그 결과 예수의 살과 피에서 새롭게 나온 자아는 아담에게서 나온 기존의 자아와는 결별하게 된다.

The saints are those who met someone who sentenced their own egos to death and killed them. These are those who have been forgiven of their sins which judged Jesus in one voice, avenged Jesus in unison, and cursed Jesus malignantly. 성도는 자신이 붙들고 있던 자아에게 사망선고를 내리고 그 자아를 죽여주시는 그 어떤 분을 만난 이들이다. 이들은 전에 한 목소리로 예수님을 재판하고, 단합하여 예수님께 복수하고, 악의에 차서 예수님을 저주했던 자신들의 그 죄가 용서받은 자들이다.

They are also the “the least” mentioned by the Lord in Matthew 25. These are the blessed ones who will inherit the eternal kingdom prepared for them since the creation of the world, whose all behaviors will have been given the meaning of having served Jesus because of their Lord's one-sided measure. These are the new Israel and the church.또한 이들은 마태복음 25장에서 주님이 언급하신 ‘지극히 작은 자’에 해당되는 이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행한 모든 일이 일방적인 그들의 주님의 조치로 인해 예수님을 섬긴 것으로 의미를 부여받게 되는 자들로서 창세로부터 자신들을 위해 예비 된 영원한 나라를 상속받게 되는 복된 자들이다. 이들이 바로 새 이스라엘이요 교회이다.

In John 20:17, Jesus says to Mary, who visited his tomb after his resurrection, “Do not hold on to me.” This command implicitly implies the essence of the gospel. It means that Jesus is the one who is not held by humans. Humans' attempts to hold Jesus are entirely rejected by Jesus. The Lord's command that “Do not hold on to me” means that "All you have to do is do sin for the whole of your lives. Live as a sinner all your life. I myself am going to visit you such a sinner.” Therefore saints are those who have been made to believe the truth that they could do nothing but sin, and that Jesus has visited them such sinners. 요한복음 20장 17절을 보면 예수님은 부활하신 후에 자신의 무덤을 찾아온 마리아에게 “나를 만지지 말라.”고 하신다. 이 명령에는 복음의 본질을 단적으로 함축되어있다. 그것은 예수님은 인간에게 붙들리지 않는 분이라는 의미이다. 인간이 예수님을 붙들려고 하는 시도는 예수님에 의해 전적으로 거절당한다. “나를 만지지 말라.”는 주님의 명령은 “네가 할 일은 평생 죄짓는 일이다. 너는 평생 죄인으로 살아라. 그런 너를 내가 찾아갈 것이다.”고 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성도는 자신들은 죄 짓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과 그런 죄인을 예수님이 찾아오셨다는 것이 믿어진 자들이다.

The apostle Paul asks the recipients of his epistle now : "Is there anything in you in excess of your existence that has received from the Lord ? Is there a new life in you that completely ignores the life sustained by 'bread', which is the life made from Jesus' flesh and blood?"사도 바울은 이제 그의 편지의 수신자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여러분들 안에는 주께로부터 받은, 여러분의 존재를 초과하는 그 어떤 것이 있습니까? ‘떡’으로써 유지되는 생명을 아주 완전히 개 무시해버리는 새로운 생명, 곧 예수님의 살과 피로 만들어진 생명이 있습니까?”

Now comes the confession from those who respond with "yes" to the question of the apostle Paul, which cannot be made by an existing ego : a confession that exceeds their beings. “I am happy in all cases if only Christ is preached! The Lord has done it.” 이제 사도 바울의 질문에 “yes”로써 화답하는 이들에게서 기존의 자아로서는 할 수 없었던 고백, 즉 그들의 존재를 초과하는 고백이 흘러나온다. “저는 어떤 경우라도 그리스도만 전파된다면 그 자체로서 기쁩니다! 주님이 다 하셨잖아요.”

 이근호 (IP:119.♡.87.190)20-03-27 13:11 
"이 어두운 세상이 ‘그리스도’를 언급하고 있다고 하는 그 현상". 즉 인간들이 그리스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그  현상이 제대로 악마스러운 풍경이다. 왜냐하면 악마는 항상 인간들보다 지혜로워서 인간의 모든 탈출로를 종교를 가지고 차단하는데 성공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믿지 못할 분임을 아는 자가 탈출에 성공한 성도다!"

'함숙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를 위하지 않는 삶   (0) 2020.04.11
덫과 해결책   (0) 2020.04.04
경계선   (0) 2020.03.22
분리  (0) 2020.03.14
복음안의 기쁨  (0) 2020.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