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복음안의 기쁨

아빠와 함께 2020. 3. 7. 09:12

 

2020-03-06 19:28:26조회 : 21         
in The Gospel복음 안의 기쁨이름 : 함숙경 (IP:121.149.196.6)
title : Joy in The Gospel복음 안의 기쁨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1: 3~6
date : 2020/03/01

3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4.In all my prayers for all of you, I always pray with joy 5.because of your partnership in the gospel from the first day until now, 6.being confident of this, that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carry it on to completion until the day of Christ Jesus.3.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 4. 간구할 때마다 너희 무리를 위하여 기쁨으로 항상 간구함은 5.첫날부터 이제까지 복음에서 너희가 교제함을 인함이라 6.너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가 확신하노라

The 'good work' begins with Jesus. Jesus's good work is a voluntary surrender of his life. “The reason my Father loves me is that I lay down my life--only to take it up again. 18.No one takes it from me, but I lay it down of my own accord. I have authority to lay it down and authority to take it up again. This command I received from my Father.(John10:17~18)" ‘착한 일’은 예수님으로부터 시작된다. 예수님의 착한 일은 자진해서 자기 목숨을 내놓은 것이었다.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시는 것은 내가 다시 목숨을 얻기 위하여 목숨을 버림이라 이를 내게서 빼앗는 자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버리노라 나는 버릴 권세도 있고 다시 얻을 권세도 있으니 이 계명은 내 아버지에게서 받았노라 하시니라”(요10:17-18)

On the other hand, for people, good works are not good things for God, but good things for themselves. People want others to cooperate with their own attempts. They want to include even God among these others. What the commandment says is that 'good things can't come out of such a human being.' No one will be declared righteous in God's sight by observing the law, but it is impossible for men to abandon their own goodness. Man wants to be a good man who can carry out God's commandments to the end. In other words, man does not believe in God, but in himself to the end. 반면에 사람들에게 있어 착한 일이란 하나님을 위한 착한 일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를 착한 존재로 내세우기 위한 착한 일이다. 사람들은 타인들이 이러한 자신들의 시도에 협조해주기를 바란다. 그들은 하나님조차도 이들 타인들 속에 포함시키고 싶어 한다. 계명이 말씀하시는 바는 ‘그러한 인간에게서는 착한 일이 나올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율법의 행위로는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함을 입을 육체가 없다고 밝히 말씀하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자기 자신의 선함을 버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은 끝까지 자신이 하나님의 계명을 행할 수 있는 착한 존재이고 싶어 한다. 즉 인간은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끝까지 믿는다.

The good works they do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good work Jesus does. Therefore, the good works of humans and the good work of Jesus collide and push each other. This is because humans still do not give up their own "goodness." Hence, God causes them to pass through unexpected sufferings in order to frustrate their expectations of their own goodness. 그들이 행하는 착한 일은 예수님이 행하시는 착한 일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러므로 인간들의 ‘착한 일’과 예수님의 ‘착한 일’은 서로 충돌하고 서로를 밀어낸다. 이것은 인간들이 여전히 ‘자기 착함’을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성도로 하여금 자신의 착함에 대한 기대가 좌절되도록 하기위하여 그들로 하여금 예기치 못한 환란을 통과하게 하신다.

In the process, the saint is exposed how much he himself fears the world and care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world. He also finds himself a despicable man who can turn his back on Jesus at any time in order to keep his place. Thus, the saint is naked by the sufferings God has prepared for him. Finally, he understands that the only one who does good work is Jesus, and that the place where Jesus works is the inside of the saint who knows the gospel. 그 과정 속에서 성도는 자신이 얼마나 세상을 두려워하고 세상의 평가에 마음을 쓰는 자인지 발각 당한다. 그는 자기의 위신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언제든지 예수님께 등을 돌릴 수 있는 비열한 자라는 것도 발견하게 된다. 이처럼 성도는 하나님이 친히 준비하신 고난에 의해 발가벗겨진다. 마침내 그는 착한 일을 행하시는 분은 오직 예수님 외에는 없으며 그 예수님께서 일하시는 장소가 바로 복음을 아는 성도 자신의 내부라고 하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God's will is not to save the individual, but to make the saint be the place where 'the event of Jesus' cross' is happened in order to reveal that this world is Egypt and Sodom. Therefore, Jesus' good work is not the salvation of a certain individual, but rather leaving the information of the cross, the marks of Jesus inside the saints by making the saints pass through the sufferings. The saint is the one who bears some mark on the cross section of him . 하나님의 뜻은 개인의 구원이 아니라 이 세상이 애굽이며 소돔이라고 하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성도를 ‘십자가 사건’이 발생되는 장소가 되게 하시는 것이다. 따라서 예수님이 벌이시는 ‘착한 일’은 특정 개인의 구원이 아니라 성도를 환란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성도 내부에 십자가의 흔적, 십자가의 정보가 남게 만드시는 것이다. 성도는 그의 단면에 어떤 흔적을 가진 자다.

This is the mark that he has crossed over from death to life(John 5:24). In the fifth chapter of John, there is a Bethesda pond and there appears a 38-year-old sick man. The sick man is a figure that shows the boundary between death and life. When the merciful Lord came and healed the man's disease, both the man and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thought that the man cured had now got all he had to get from Jesus. But the man himself, who had been cured, was given a mission to bewilder him by Jesus. The problem was that the day on which this took place was a Sabbath. on the Sabbath Jesus had let the man cured pass before the Pharisees, saying to him, "Get up! Pick up your mat and walk.". In the presence of those who regarded the observance of the Sabbath as their life, Jesus ordered the man to break the Sabbath's decrees. This is because he had to be a witness to Jesus who is the master of Sabbath. For he is saved to show that he had engraved mark that he has crossed over from death to life. 이것은 그가 사망에서 생명으로 건너간 흔적이다(요 5:24). 요한복음 5장에는 베데스다 연못이 나오고 거기에 38년 된 병자가 등장한다. 그 병자는 죽음과 생명의 경계선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자비로우신 주님이 오셔서 그 사람의 병을 낫게 했을 때, 본인이나 주변 사람들도 이제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얻을 것 다 얻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고침을 받은 이 사람을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사명을 주님이 그에게 부여하셨다. 문제는 그 일이 일어난 날이 안식일이었기 때문이었다. 예수님은 안식일에 고침을 받은 자에게 ‘일어나 네 자리를 들로 걸어 가라.’고 명하시면서 바리새인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그를 지나가게 하셨던 것이다. 안식일을 지키는 것을 목숨처럼 귀하게 여기는 자들 앞에서 예수님은 그 고침을 받은 자에게 안식일의 규례를 어기도록 명하신 것이다. 그는 안식일의 주인 되신 예수님의 증인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 그는 자신에게 사망에서 생명으로 건너간 흔적이 새겨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구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Human beings are already host to the devil, so they are always overwhelmed by the unknown fear, not the joy of the Holy Spirit. Humans are constantly being watched by someone and are constantly urged by this watcher to abandon evil and do g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good and evil. There is no way for humans to get out of here. God's will is not to save individual human beings, but to use human beings possessed by evil spirits to testify of Jesus. The Holy Spirit came to the saints for this purpose. 인간은 이미 악마의 숙주가 되어 있기에 성령이 주는 기쁨이 아니라 늘 알 수 없는 공포에 눌려 있다. 인간들은 누군가에 의해서 계속 감시당하고 있으며 이 감시자에 의해 선악과의 관점에서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도록 지속적으로 독촉 받고 있다. 여기서 인간이 스스로 빠져 나올 길은 없다. 하나님의 뜻은 개별적인 인간을 구원하는 것이 아니라 악령에 사로잡힌 인간을 예수님을 증거 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시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도에게 성령이 오신 것이다.

The Philippi church in today's text is the church in Acts. The saints in the book of Acts lived happily. For they knew there was something more precious than their own life. And they have learned how God works in the end times of the world. They have also learned that every attempt to upgrade themselves to heaven was futile. In addition, they knew that Jesus had gone where humans could not go. only the place where Jesus went is heaven. Then the only way to enter heaven is for the Lord to come to the man. There is no other way than that. That is why the Holy Spirit came to His disciples on the day of Pentecost. This was hardly This was very unexpected until the Holy Spirit came. 오늘 본문의 빌립보 교회는 사도행전 내의 교회이다. 사도행전 속의 성도들은 기쁘게 살았다. 그들은 자기 목숨보다 더 소중한 것이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세상 마지막 때에 하나님께서 어떤 식으로 일하시는지를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인간들이 자신의 힘으로 자신을 개조해서 천국에 들어가겠다고 애쓰는 그 모든 시도가 다 헛것임을 알았던 것이다. 또한 그들은 예수님은 인간들이 갈 수 없는 곳에 가셨다는 것을 알았다. 예수님이 가신 그곳만이 천국이다. 그렇다면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주님이 그 사람에게 찾아오시는 것이다. 그 길 외에 다른 길은 없다. 그래서 오순절에 성령께서 제자들에게 찾아오신 것이다. 이것은 성령이 오시기 전에는 도저히 예상 못한 것이다.

Likewise, when the Holy Spirit comes, the saint freely becomes a "Jesus' Witness"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 eyes of others(Acts 1: 8), abandoning his own goodness without hesitation. He rejoices and appreciates in the gospel, knowing that he is with the Lord as the dead, not the living. 이처럼 성령님이 오시면 성도는 자기 착함을 미련 없이 버리면서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예수님의 증인’이 된다(행 1:8). 그는 자신은 산 자가 아니라 죽은 자로서 주님과 함께 있다는 것 때문에 복음 안에서 기뻐하고 감사한다.

'함숙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계선   (0) 2020.03.22
분리  (0) 2020.03.14
복음의 재료  (0) 2020.02.29
주 안의 형제   (0) 2020.02.22
비어있는 갑옷  (0)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