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The Boundary Line 경계선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1 : 12-14 date : March 15, 2020
12.Now I want you to know, brothers, that what has happened to me has really served to advance the gospel. 13.As a result, it has become clear throughout the whole palace guard and to everyone else that I am in chains for Christ. 14.Because of my chains, most of the brothers in the Lord have been encouraged to speak the word of God more courageously and fearlessly.
SUMMARY
The apostle is now in prison in Rome. However, we can see that the situation in the chain is no problem for him. What he wants to inform the brothers in the Lord is that what has happened to him has brought about the advancement of the gospel and that because of his chains, most of the brothers in the Lord have been encouraged to speak the word of God more courageously and fearlessly. 사도는 지금 로마 감옥에 갇혀있다. 그런데 그에게는 사슬에 매여 있는 상황 따위는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그가 주 안에 있는 형제들에게 알리기를 원하는 것은 그가 당한 일이 복음의 진보를 가져왔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매임 때문에 형제 중 다수가 주 안에서 신뢰하므로 겁 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 담대히 말하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As such, the apostle's concern is not that he is bound or released, but where the gospel is now emerging. It is not his concern when he will be released from prison and how his life will end. Paul has not the slightest notion of 'I should not suffer from the gospel.' Rather, what he wants to tell his brothers in the Lord is that the world revolves around the gospel and that the world that people consider stable is in fact shaken by the gospel. 이처럼 사도의 관심은 자신의 매임이나 석방이 아니라 복음이 지금 어디서 나타나고 있는가에 있다. 자신이 언제 옥에서 풀려나고 자신의 인생이 어떻게 마감될 것인가 라고 하는 것은 그의 관심사가 아니다. ‘내게는 복음 때문에 손해 보는 것이 있어서는 안 돼.’라고 하는 생각 따위는 사도 바울에게는 조금도 없다. 오히려 그가 주 안의 형제들에게 알리고 싶어 하는 것은 세상은 복음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사람들이 안정되어 있다고 여기는 세상이 사실은 복음에 의해 흔들리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People think that God is by no means the enemy of man. They think that righteousness, injustice, falsehood, or truth, are all intertwined in human affairs, which are revealed and arranged by human-to-human relationships. So they are trying to find the justification for their actions in what they do, and they think God is the one who supports and helps them. But people's idea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apostle Paul's ideas. 사람들은 하나님은 결코 인간의 적이 아니라고 여긴다. 그들은 의, 혹은 불의, 그리고 거짓, 혹은 진실 등은 모두 인간사에 얽힌 것들이며 이것은 인간 대 인간의 관계에 의해서 밝혀지고 정리되는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서 자신의 행위의 정당성을 찾으려고 애쓰고 있으며 하나님은 그들의 그런 행위를 지지해주시고 돕는 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의 이런 생각은 사도의 것과는 전혀 다르다.
The apostle Paul demands that the saints get away from this personal perspective and have the gospel's. It is irrelevant to the work of the gospel that we maintain “for myself”. The gospel, the work of God, is related to the consistency of what Jesus himself is doing.사도 바울은 성도들이 이 같은 개인적인 안목에서 벗어나 복음의 안목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우리가 ‘나 자신을 위한 나’를 견지하는 것은 복음의 일과는 상관없는 것이다. 복음, 즉 하나님의 일이란 예수님께서 친히 벌이시는 일의 일관성과 관련되어있다.
John the Baptist says about this matter : “I would not have known him, except that the one who sent me to baptize with water told me, 'The man on whom you see the Spirit come down and remain is he who will baptize with the Holy Spirit”(John 1:33). John the Baptist makes it clear that his baptizing in the Jordan is not his own work that comes from him and his work of baptizing is because the one who will baptize with the Holy Spirit in the future sent him. He confesses that what he is doing now is the result of what the one himself who comes after him did first. 이 일에 대해서 세례 요한은 다음과 같이 밝힌다. “나도 그를 알지 못하였으나 나를 보내어 물로 세례를 주라 하신 그이가 나에게 말씀하시되 성령이 내려서 누구 위에든지 머무는 것을 보거든 그가 곧 성령으로 세례를 주는 이 인줄 알라 하셨기에(요 1:33).” 세례 요한은 자신이 요단강에서 물세례를 주는 것은 자기에게서 나온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하는 것과 그의 일은 장차 성령으로 세례를 주실 분께서 그를 보내셨기 때문에 하는 일이라는 것을 분명히 한다. 그는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은 자기 뒤에 오실 분이 친히 먼저 벌이신 일의 결과라는 고백을 하는 것이다.
Our Lord sits on the right side of God and baptizes us with the Holy Spirit. The Lord is the baptist of the Holy Spirit, which means that there are those who receive it. one of them is the apostle Paul. Paul, therefore, is now looking at his situation with the eye of the Lord, away from his private eye, as was the case with John the Baptist. So the conclusion he reached was that his situation of being locked up in prison and being in chains brought about the progress of the gospel. 우리 주님은 하나님 우편에 앉아서 성령으로 세례를 주시는 분이시다. 주님이 성령세례를 주시는 분이라는 것은 그것을 받는 자들이 있다는 말이다. 그 받은 자들 중의 한 분이 사도 바울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지금 자신이 처한 상황을 세례 요한이 그러했듯이 그의 사적인 안목에서 벗어나서 주님의 안목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그가 내린 결론은 자신이 옥에 갇히고 매인 몸이 된 것이 복음의 진보를 가져왔다고 하는 것이다.
He doesn't care whether the situation in which he is imprisoned is a profit or a loss for him. Rather, he sees that God is using this condition, in which he is unable to do anything with his bound body. For it was known to him that God was not for the flesh of Paul, but for the gospel. 그는 자신이 옥에 갇힌 상황이 자신에게 이익이냐 손해냐를 따지지 않는다. 도리어 그는 자신이 묶인 몸으로 아무 것도 못하고 있는 이 상태를 하나님께서 복음전파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계신다고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바울의 육체를 위하시는 분이 아니라 복음을 위하시는 분이라는 것이 그에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As such, the apostle who received the Holy Spirit is busily living for the Gospel while his body is bound in prison. This has to do with the consistency of what God is doing. Chapter 3 of the Genesis records the incident in which man violates God's forbidden order. Adam and Eve ate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of evil that God said not to eat. Humans who ate the fruit that made them know good and evil now come to be foolishly proud that there is no cordon in front of them. 이처럼 성령 받은 사도는 그의 몸이 묶인 상태에서 복음을 위해 분주하게 살고 있다. 이 일은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의 일관성과 관련되어 있다. 창세기 3장에는 인간이 하나님의 금지명령을 어기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이 따먹지 말라는 선악과를 따먹었다. 선악을 알게 하는 과일을 먹은 인간은 이제 그들 앞에 그 어떤 저지선(線)도 없다고 자부하게 되었다.
However, while clarifying the existance of cordon that humans ignored, surprisingly, God came to humans, crossing that line. Therefore, it is now impossible for the saints to deny the existence of boundary they would like to ignore. Besides, the fact that humans can never cross the line, and that even if they want to believe and follow Jesus, they cannot voluntarily believe in Jesus has come to be clear.하지만 인간들이 무시해버린 그 저지선을 분명히 하시면서 놀랍게도 하나님 편에서 그 선을 넘어 인간세계로 오시는 일이 발생했다. 그러므로 이제 성도는 자신들이 무시해버린 경계선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인간은 결코 그 선을 넘을 수가 없으며 그들이 예수님을 믿고 따르고 싶어도 인간들이 자진해서 예수님을 믿을 수 없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Despite this, humans try to overlook and deny this fact. Human beings are confident that they can take good and abandon evil because they think they have a good awareness of good and evil. In addition, they want to believe that they are open to the possibility of being good. 실상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인간들은 이 사실을 간과하고 부정하려 든다. 인간은 자신들이 선과 악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 스스로 선을 취하고 악을 버릴 수 있다고 자부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는 얼마든지 선한 존재가 될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믿고 싶어 한다.
But God's ideas are different. The world God wanted in the first place is the world of life trees, where man does not know good or evil. Therefore, when someone who had lived with knowledge of good and evil was baptized by the Holy Spirit and moved to the world of life trees, the boundary that did not exist in him until then becomes clear. It is clearly known to him that this line is a line that separates heaven and hell, and that it is a line that borders between God and man. 그러나 하나님의 생각은 이와는 다르다. 하나님이 애초에 원하신 세상은 인간이 선과 악을 모르는 생명나무의 세상이다. 따라서 선과 악을 아는 지식으로 살아왔던 누군가가 성령 세례를 받아 생명나무의 세계로 옮겨지게 되면 그때까지 그에게는 존재하지 않던 경계선이 비로소 분명하게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천국과 지옥을 가르는 선이며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경계 짓는 선이라는 것이 그에게 분명하게 알려진다.
The gospel reveals that Jesus is the only one who can cross this boundary and who has crossed this boundary. The reason that humans cannot cross this line is that in order to cross this lin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 situation in which human beings cannot stand. It is a situation where they become known that they are dirty, useless, worthless, trivial, false, abominable, mean, coward and greedy. In addition, it is because humans must do self-awareness, self-denial, which can never be done by themselves.복음은 이 경계선을 넘을 수 있는 분, 그리고 이 경계선을 넘어 오신 분은 오직 예수님뿐이라는 것을 밝힌다. 인간들 편에서 이 선을 넘을 수 없는 이유는 이 선을 넘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인간으로서는 견딜 수 없는 상황을 겪어야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들은 자신이 더럽고 쓸모없고 무가치하며 시시하고 거짓되고 가증스러우며 비열하며 겁쟁이며 탐욕스럽다고 하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는 상황이다. 또한 인간으로서는 결코 스스로 할 수 없는 자기인식, 곧 자기부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human beings do not wish that there are boundaries beyond which they cannot cross. However, the gospel maintains this boundary stubbornly. In the Bible, 'sacrifice' is seen as a role of the boundary line. The saints today are living offerings to God in this age (Rom. 12: 1). When the saint is tided up as a sacrifice, time and space are stopped. This is because there is nothing they can do to those who are bound and placed on the altar. Jesus uses this stationary situation to describe heaven, and this is 'the parable'.따라서 인간들은 자신들이 넘어 갈 수 없는 경계선 따위란 존재하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나 복음은 이 경계선을 고집스럽게 유지시킨다. 성경에서는 ‘희생제물’을 경계선의 기능으로 본다. 오늘날 성도는 이 시대에 있어 하나님에게 드려지는 산 제물이 된다(롬 12:1). 성도가 제물로 묶이게 되면 그에게는 시간과 공간은 정지된다. 이는 묶인 채 제단위에 놓인 제물이 된 자들에는 그들이 손 댈 수 있는 것이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이 정지된 상황을 들어 천국을 설명하시는데 사용하시는데 그것이 바로 ‘비유’이다.
In 'parable', time and space are stationary. The characters appearing there are only actors acting as set. In Matthew 20: 1–16, there is a parable of the heaven where the owner of the vineyard and the wageworkers appear.The parable begins by saying, "Heaven is like this." A vineyard owner hires those standing around in the marketplace at different times, promising a denarius, and letting them into his vineyard. However, at the end of the day, when the wages are paid, the same day wages are given from the last one hired to the first. This leads to complaints from those who came first. However, the owner's thoughts are firm. “Take your pay and go. I want to give the man who was hired last the same as I gave you” In other words, heaven is the place where the last will be first, and the first will be last. Here, the owner of this vineyard thoroughly ignores the personal views and personal perspectives of the workers. ‘비유’ 안에서는 시간과 공간은 정지되어있다. 거기에 등장하는 인물은 설정되어진 대로 연기하는 연기자일 뿐이다. 마태복음 20장 1~16절에 보면, 포도원 주인과 품꾼이 등장하는 천국비유가 있다. 즉 “천국은 이와 같다”고 하면서 시작된다. 어떤 포도원 주인이 각각 다른 시간에 장터에서 놀고 서있는 자들을 고용해서 한 데나리온의 품삯을 약속하고 자기의 포도원에 들여보낸다. 그런데 하루 일과를 끝내고 품삯이 지불될 때 제일 나중 온 사람부터 먼저 온 사람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하루 품삯이 주어진다. 이에 먼저 온 자들 쪽에서 불만이 터져 나온다. 그러나 주인의 생각은 단호하다. “네 것이나 가지고 가라. 나중 온 이 사람에게 너와 같이 주는 것이 내 뜻이니라.” 즉 나중 된 자가 먼저 되고 먼저 된 자가 나중 되는 곳이 천국이라는 것이다. 여기 이 포도원 주인은 품꾼들의 개인적 견해와 사적 안목을 철저하게 무시해버린다.
‘Heaven is like this’ means the same thing as ‘Hell is like this.’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parable are only assigned roles that show the character of heaven or hell. In this sense, every human life can be said to be a “parable” that plays a role assigned by God. However, none of the people voluntarily withdraw their values and meaning. In addition, no one can accept the fact that there is little room for him to deal with his life, and that his own life is a “parable” in which time and space are stationary.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no one can cross the boundary line between heaven and hell with his own power. ‘천국은 이와 같으니’라고 하는 것은 ‘지옥은 이와 같으니’라고 하는 말과 같은 의미다. 여기 이 비유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천국 혹은 지옥의 성격을 보여주는 역할을 배정받았을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모든 인간의 삶은 하나님에 의해 배정받은 역할을 행하는 ‘비유’로서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 가운데는 자기 가치와 자기 의미를 자진해서 철회할 자는 없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생을 자기가 다룰 수 있는 여지가 조금도 없는, 시간과 공간이 정지되어있는 ‘비유’라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도 없다. 따라서 어느 누구도 천국과 지옥의 경계선(線)을 자기 힘으로 넘을 수는 없는 것이 자명하다.
However, through the Holy Spirit, there are those who have already crossed the boundary, and they have an eye for seeing their life as a parable. As a result, they have not only become those who prove that there is a clear line between heaven and hell, between God and man, but they themselves function as a boundary. 하지만 성령으로 말미암아 이미 그 경계선을 넘어버린 자들이 있는데 그들에게는 자기 삶을 비유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열린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은 천국과 지옥,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경계선이 엄연히 존재함을 증거 하는 자들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들 자체가 바로 경계선의 기능을 한다.
They know that they are by nature those who can never cross the boundary, and that it is by the unilateral Lord's measure and the Redemption. Therefore, they only testify to the blood of Jesus Christ, who covered his shame. They know that they themselves are the same vineyard workers who worked for just one hour and were paid for by one denarius, and they are also pleased and grateful that their incompetence and shame were used as materials to show and praise their master's amazing grace. 이들은 자신들은 본래 그 경계선을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자들이라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 선을 넘어가게 된 것은 일방적인 주님의 조치와 예수님의 대속의 죽으심에 의한 것임을 안다. 그러므로 이들은 자신의 수치를 덮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피만 증거 한다. 또한 그들은 자기 자신들이 한 시간 일하고 한 데나리온의 품삯을 받은 바로 그 포도원 품꾼들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들의 무능함과 수치까지도 주인의 그저 베푸신 은혜를 드러내고 찬양하는 재료로 쓰인 것에 기뻐하고 감사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