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The Dear Brother in the Lord 주 안의 형제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Ephesians 5:22~24 date : 2020/02/16
21.Tychicus, the dear brother and faithful servant in the Lord, will tell you everything, so that you also may know how I am and what I am doing. 22.I am sending him to you for this very purpose, that you may know how we are, and that he may encourage you. 23.Peace to the brothers, and love with faith from 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24.Grace to all who love our Lord Jesus Christ with an undying love.
SUMMARY
The apostle Paul gives the saints of the church of Ephesus a special introduction to Tychicus, a brother the Lord Jesus Christ. There is a reason why he considers Tychicus more special than others. It is because Tychicus has experienced God's intervention together with him. Besides, he is the one who has gone through the contents of the Gospel that the apostle Paul testifies ; 'If anyone dies and is not raised, he cannot go to heaven.' These are the ones who have experienced the substitution of the master of the body by the Holy Spirit. 사도 바울은 에베소 교회의 성도들에게 주 안의 형제인 두기고를 특별하게 소개한다. 그가 두기고를 다른 사람보다 더 각별하게 여기는 데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개입을 같이 경험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죽었다가 살아나지 아니하면 그는 천국에 갈 수 없다’고 하는 사도 바울이 증거 하는 복음의 내용을 함께 겪은 사람이다. 이들은 성령에 의해 몸의 주인이 교체되는 경험을 한 사람들이다.
People think that their bodies are their own and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egos in them. And they take it for granted that this body exists. But here the apostle Paul and Tychicus oppose the universal recognition of this kind of humanity. It is because the body of Jesus Christ has appeared in the world. The body of Jesus Christ exists in the world, and His body is the only reality, and its effect of the body negates all existing bodies.사람들은 그들의 몸이 자기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 몸 안에 있는 자아와 자기 자신을 동일시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 몸이 존재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여기 사도 바울과 두기고는 이러한 종류의 인류의 보편적 인식에 반기를 든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세상에 등장했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은 세상에 실존하고 있으며 이 몸만이 유일한 실체이며 이 몸의 효력은 기존의 모든 몸을 부정해버린다.
Therefore, the saint should not take it for granted that his body is here, but should pay attention to why this body of virtual image exists in the world. In conclusion, the body of the saint is there to be used for the body of Jesus Christ. The bodies that exist for the purpose of the body of Jesus Christ are brothers like Tychicus Paul mentioned in today's text.그러므로 성도는 ‘자신의 몸이 여기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길 것이 아니라 왜 이 허상인 몸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가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성도의 몸은 주님의 몸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서 있는 것이다. 주님의 몸을 위한 용도로 존재하는 몸들이 오늘 본문에서 바울이 언급한 두기고와 같은 형제들이다.
In the Old Testament, the Abrahamic Covenant, the Isaac Covenant, and the Jacob Covenant show how the brothers in the Lord get to emerge. These covenants show the nature of brothers in the Lord and their process of occurrence. The Abrahamic covenant shows that a child that is born a physically impossible situation, that is, by the intervention of God's promise, has come to exist. This refers to changing from 'no existence' to 'existence'. And Isaac Covenant shows the struggle between those who will go to heaven and those who will not go. This means that there is a constant struggle between the ego that the devil is behind and the ego that is newly prepared by the Lord. And Jacob Covenant shows that the 12 brothers are newly generated by Israel, the body newly prepared by the Lord, not by the existing body and ego, but by the body whose body is replaced by the Lord. 주 안의 형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출현하게 되는지를 구약성경에서는 아브라함언약, 이삭언약, 야곱언약으로 보여준다. 이 언약들은 주 안의 형제의 본질과 발생과정을 보여준다. 아브라함언약은 육체적으로 불가능한 형편에서 결코 생길 수 없는 자식이 생기는 것, 곧 하나님의 약속의 개입으로 말미암아 본래 존재할 수 없었던 자가 존재케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없음이 있음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삭언약은 어머니의 태중에서부터 시작된 천국 갈 자와 가지 못할 자의 다툼을 보여준다. 이것은 마귀가 배후에 있는 기존의 나와 주님이 새롭게 준비한 나 사이에 끊임없는 다툼이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야곱언약은 기존의 몸과 자아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님에 의해 새롭게 준비된 몸, 몸의 주인이 주님으로 교체된 몸인 이스라엘에 의해서 12형제가 발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fleshly sons of Jacob into brothers belonging to the body of Christ is explained through Joseph Covenant and the affair that took place between Judah and his daughter-in-law, Tamar. 여기에 덧붙여서 야곱의 혈육의 아들들이 그리스도의 몸에 속한 형제들로 바뀌는 과정이 요셉언약과 유다와 그의 며느리 다말 사이에 발생한 사건을 통해서 설명된다.
The result of Jacob having been replaced by Israel after wrestling with the angel at the ford of the Jabbok was the death of his beloved son Joseph. Joseph was hated by his brothers and sold to Midian merchants as slaves. This is the same as he was killed by his brothers. The characteristic of Joseph Covenant is that his new brothers are generated only when the beloved son by his father dies. The one who was abandoned by his brothers generates new brothers, brothers who belong to heaven, not to blood. 얍복나루에서 천사와의 씨름 후 이스라엘이 야곱에게 덮쳐오자 그 결과 발생한 사건이 사랑하는 아들 요셉의 죽음이다. 요셉은 형제들에게 미움을 받아 미디안 상인에게 노예로 팔린다. 이것은 그가 형제들에 의해 살해를 당했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요셉언약의 특징은 아버지에게 사랑받는 아들이 죽어야만 언약에 의해서 그의 새로운 형제들이 발생된다고 하는 것이다. 형제에 의해 버림받은 자가 새로운 형제, 곧 혈육에 속한 형제가 아닌 하늘에 속한 형제를 새롭게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Along with the Joseph covenant, the process of birth as brothers in the Lord is described in Genesis 38 as an affair between Judah and his daughter-in-law, Tamar. In short, the lineage of the covenant family continues at the sacrifice of the daughter-in-law, Tamar, who was banished by the father-in-law of the covenant family. The daughter-in-law, Tamar, was abandoned by her father-in-law who wanted to protect his youngest son. But she disguised herself as a prostitute, and then she slept with her father-in-law. As result of it, she gave a birth to twin sons. Finally she makes her dead husband end the obligation as the eldest son. That is, the very one who was expelled by the covenant people makes the covenant people resurrect from the dead. 요셉언약과 더불어, 형제가 발생되는 과정이 창세기 38장에서 시아버지 유다와 며느리 다말사이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설명되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언약의 가정의 시아버지에게 추방된 며느리 다말의 희생에 의해 언약의 가정의 계보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다는 이야기이다. 며느리 다말은 자신의 아들을 지키고자 하는 시아버지에 의해 버림받았지만 창녀로 변장하여 시아버지와 동침을 하고 그 결과 얻은 자식으로 죽은 남편의 맏이 노릇이 마무리되게 한다. 즉 언약의 백성에 의해 추방된 자가 언약의 백성을 죽음에서 부활시키는 것이다.
Tamar's sacrifice shows that the covenant brother is born by the death of the one who has been abandoned by universal human thinking and ethics and values. Tamar's act was God's intervention in the covenant family. Thus, only through Jesus' intervention, the saints are born as brothers in the Lord.보편적인 인간의 사고방식과 윤리관과 가치관에 의해 버림받은 자의 죽음에 의해 언약의 형제가 출생한다는 것이 다말의 희생이 보여주는 것이다. 다말의 행위는 언약의 가정에 투입된 ‘하나님의 개입’작업이었다. 이처럼 예수님의 개입으로만 성도는 주 안에서 형제로 출생하게 된다.
The fact that Tamar's name is listed in Jesus' genealogy in Matthew 1 shows that Jesus acts only according to Tamar's principle of sacrifice. It means that Jesus break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elf and the Lord comes into the place of the self that he has cut. This body is then replaced by the Lord's body, and the person so replaced is the key to heaven. Such ones suffer unexplained suffering and death. Because he is a brother of Jesus. Romans 8:17 explains this. “Now if we are children, then we are heirs--heirs of God and co-heirs with Christ, if indeed we share in his sufferings in order that we may also share in his glory.”다말의 이름이 마태복음 1장에 나오는 예수님의 족보에 올랐다는 것은, 예수님은 다말의 희생의 원칙에 준해서만 행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예수님은 기존의 몸과 자아 사이의 연결을 끊으시고 끊어져나간 그 자아의 자리에 주님이 들어오시는 것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이 몸은 주님의 몸으로 교체되고 그렇게 교체된 사람 그 자체가 천국의 열쇠가 된다. 이런 자들은 이유 없는 고난과 죽음을 겪게 된다. 그는 예수님과 한 형제이기 때문이다. 롬8:17절이 이를 설명한다. “자녀이면 또한 후사 곧 하나님의 후사요 그리스도와 함께한 후사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될 것이니라.”
When the Lord deals with this body, the mark of the cross comes from this body. Then, I am already a servant of Christ, and the apostle Paul, and Tychicus. This life then reveals the body of Christ, the new body, the glorious body of the Lord, who died on my behalf and came to life. The fact that the existing body and the ego are fake and imaginary before the body of the Lord proves through the new body whose the owner has been replaced.주께서 이 몸을 다루실 때, 이 몸에서 십자가의 흔적이 나온다. 그렇게 될 때, 이미 나는 그리스도의 종이 되고, 사도바울이 되고, 두기고가 되는 것이다. 그때 이 인생은 나를 대신하며 죽었다가 살아난 그리스도의 몸, 새로운 몸, 주님의 영광된 몸을 드러낸다. 주님의 몸 앞에서 기존의 몸과 자아는 가짜이고 허상이며 그 몸은 예수님의 몸을 대적한다는 사실이 주인이 교체된 새 몸을 통해서 증거 된다.
Those who are talking about why there is a body that should not exist and about the preciousness of the new realm in the Lord is brethren in the Lord. And such conversations they share are brothers' fellowship. Therefore, the very ones who share this fellowship are husband and wife in the Lord and parents and children in the Lord, and the saints. 존재해서는 안 되는 몸이 존재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리고 주안에 있는 새로운 영역의 귀함에 대해서 주고받는 사람들이 주 안에 있는 형제들이다. 그리고 그들이 나누는 그러한 대화가 형제들의 교제다. 그러므로 이런 교제를 나누는 자들이 바로 주안에 있는 부부이며 부모자식이며 성도들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