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사회적 관계속에 내포된 복음

아빠와 함께 2020. 1. 18. 18:50
2020-01-18 15:42:48조회 : 8         
Gospel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s : Slaves & Master(t사회적 관계 속에 내포된 복음)이름 : 함숙경 (IP:119.200.49.62)
title : Gospel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s : Slaves & Master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Ephesians 6:5~9
date : 2020/01/12

5.Slaves, obey your earthly masters with respect and fear, and with sincerity of heart, just as you would obey Christ. 6.Obey them not only to win their favor when their eye is on you, but like slaves of Christ, doing the will of God from your heart. 7.Serve wholeheartedly, as if you were serving the Lord, not men,
8.because you know that the Lord will reward everyone for whatever good he does, whether he is slave or free. 9.And masters, treat your slaves in the same way. Do not threaten them, since you know that he who is both their Master and yours is in heaven, and there is no favoritism with him. (6:5) 종들아 두려워하고 떨며 성실한 마음으로 육체의 상전에게 순종하기를 그리스도께 하듯 하여 (6:6) 눈가림만 하여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처럼 하지 말고 그리스도의 종들처럼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여 (6:7) 단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6:8) 이는 각 사람이 무슨 선을 행하든지 종이나 자유하는 자나 주에게 그대로 받을 줄을 앎이니라 (6:9) 상전들아 너희도 저희에게 이와 같이 하고 공갈을 그치라 이는 저희와 너희의 상전이 하늘에 계시고 그에게는 외모로 사람을 취하는 일이 없는 줄 너희가 앎이니라

summary

The Apostle Paul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God's promises can be applied continuously when entering the society as a single individual beyond the family of men, women, parents, and children. What should not be missed here is that although the apostle expressed in the form of command or exhortation, the Holy Spirit generates the saints out of the place of the cursed cross of the Lord, behind that superficial command. In other words, the Holy Spirit causes them to see this society and themselves through the hole of the cross, with an eye on the reality that is in the cross, the reality of the gospel. 사도바울은 오늘 본문에서 남자, 여자, 부모, 자식이라는 혈육적인 가족의 범주를 벗어나서 하나의 개인으로서 사회로 진입하게 될 때 하나님의 약속은 어떻게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도 놓쳐서는 안 되는 것은 사도가 명령 혹은 권고의 형식으로 표현했다 할지라도 성령께서는 그 표면적인 명령 이면에 있는 주님의 저주받은 십자가의 자리에서 성도를 발생시키신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성령께서는 그들을 십자가 안에 있는 현실 곧 복음이 보여주는 현실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십자가라는 구멍으로 이 사회와 자신들을 보게 하신다.

The apostle deals with all social relations in a slave-master relationship. The apostle mentions slaves and a masters to show how the promise of God, also named Jesus Christ and his gospel, is wor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aves and a masters as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ple and parents and children dealt with earlier. 사도는 종과 주인의 관계로 모든 사회적 관계를 일괄적으로 다룬다. 사도가 종과 주인을 언급하는 것은 앞서 다룬 부부관계와 부모 자식 관계에서처럼 종과 주인의 관계에서도 역시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복음이라는 이름의 하나님의 약속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Reading today's text, we can see that this society we live in is very suspicious and wrong in the past or today. This place is full of blackmail, exploitation or deception and it is taken for granted. The members of society are classed as servants and masters, and a good and evil point of view is at work. That is to say, to be a master or to benefit us is a blessing and good and being a servant or damaging us is regarded as curse and evil. Therefore, we struggle and try to be in a good position, a master, anyway. 오늘 본문을 읽다 보면 우리는 우리가 사는 이 사회가 예나 지금이나 대단히 수상쩍고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곳은 공갈 혹은 착취 혹은 눈가림만 하여 사람을 기쁘게 하는 짓거리가 만연되어있고 그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종과 주인으로 서열화되어있고 그것을 선악적인 관점이 작용하고 있다. 즉 상전이 되는 것 혹은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것은 복이요 선한 것이며 종이 되는 것 혹은 자기에게 손해가 되는 것은 저주요 악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기어이 좋은 신분, 상전이 되려고 몸부림치고 노력한다.

Slaves live pretending to work hard only when the master sees him, eager to become the master one day. In addition, the slave unable to control jealousy and inferiority only peep at the chance to claim their rights and get their owners into trouble, preoccupied with victim mentality. The masters, on the other hand, try to exploit the labor force by intimidating and harassing the servants, as though they were dealing with their goods, to hold their position or to become a higher class of masters. The labor force is money, and this money is objective evidence that can be recognized as a master. 종은 언젠가는 주인이 될 것을 열망하면서 주인 앞에서 눈가림만 하면서 살아간다. 게다가 질투심과 열등감을 주체하지 못하는 종들은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채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며 주인을 곤경에 빠뜨릴 기회만 엿본다. 한편 상전인 자들은 자기의 위치를 고수하고자 혹은 더 높은 부류의 상전이 되고자 종을 자기 물건 다루듯 하면서 협박과 공갈로 종들을 압박하며 노동력을 착취하려 든다. 노동력은 곧 돈이며 이 돈은 상전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객관적 증거가 되기 때문이다.

It is an illusion that people trapped in money and the system of good and evil will try to improve this society and make it a good society. As long as money is the goal of life and money is the mas, there can be no good person in that society. I would like to deny it, but this is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sad fate of human beings. It is also the situation of a man who is just immersed in his work without being aware of his situation, confined within limits. It is equally true that couples and parents who know the gospel are confined within this limit. 돈과 선악체계 안에 갇혀 있는 인간들이 이 사회를 개선해서 좋은 사회로 만들어 보겠다는 것은 환상이다. 돈이 삶의 목표가 되고 돈이 주인인 한 그 사회에서 선한 사람은 있을 수가 없다. 부인하고 싶겠지만 이것이 이 세상의 실상이며 개별자가 된 인간의 서글픈 운명이다. 또한 이것은 한계 안에 갇힌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한 채로 그저 자기 일에 몰두하고 있는 사람의 형편이다. 복음을 안다고 하는 부부와 부모 자식도 이 한계 안에 갇혀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The apostle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and the master because the wrong society, which God refuses, is essential to reveal God's promise and gospel as he intended. This society clearly shows that we are deeply wrong. This society we live in is a hell of a place where each of us acts as its master, as was the case with the attitude of the lazy servant who received the one talent(Matthew 25:24), not the promise-oriented or the gospel-oriented. The apostle shows the reality of this world and asks, "You, separated people of God, what kind of people ought you to be?“ 사도가 종과 주인의 관계를 언급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거절하시는 그 잘못된 사회가 하나님의 약속과 복음을 그분이 의도하신 대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사회는 우리 자신이 심히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드러내 준다. 우리가 살고있는 이 사회는 약속지향도 아니고 복음 지향도 아닌 한 달란트 받은 종의 태도가 그러했듯 각자가 나름대로 주인 행세하는 지옥 같은 곳이다. 사도는 이 같은 세상의 실상을 보여주면서 그렇다면 ‘구별된 하나님의 백성들아. 너희는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마땅하뇨?’를 묻고 있는 것이다.

This is what is written in Chapters 16:22-23. "Peter took him aside and began to rebuke him. "Never, Lord!" he said. "This shall never happen to you!" 23.Jesus turned and said to Peter, "Get behind me, Satan! You are a stumbling block to me; you do not have in mind the things of God, but the things of men." Here Jesus referred to the things of God and the things of men which are different from God's. Men's work is different from God's, it is against God and it makes Jesus fall. This is what Jesus said to Peter: 'Man's work,' that is, 'Your work’. This is a gap that can never be filled between God and us. We are completely cut off from God. 마태복음 16장 22~23절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베드로가 예수를 붙들고 간하여 가로되 주여 그리 마옵소서 이 일이 결코 주에게 미치지 아니하리이다. 예수께서 돌이키시며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사단아 내 뒤로 물러가라 너는 나를 넘어지게 하는 자로다 네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 여기서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일과 그것과는 다른 사람의 일을 언급하셨다. 사람의 일은 하나님의 생각과 다르며 그것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이며 예수님을 넘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말씀하신 '사람의 일' 곧 '너의 일’인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절대로 메꿀 수 없는 틈인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에게서 완전히 끊어져 있는 것이다.

The Israelites tried to fill the gap with strict observance of the law, but it ended in failure. They were destroyed while observing the law. The law was to let them know that they were trapped in the law and sin which is regarded good and evil. Every God's promise begins with knowing himself. Without the Holy Spirit, no one knows this by his own wisdom.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틈을 철저한 율법지킴으로 메꾸어 보려 시도했으나 그것은 실패로 끝났다. 그들은 율법을 지켜보려 하다가 멸망했다. 율법은 그들로 하여금 율법과 선악으로 여기는 그 죄 속에 갇혀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었다. 모든 하나님의 약속은 자기의 주제 파악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성령이 오시지 않고는 자기 지혜로 이를 알 사람은 도무지 없다.

All the religious practices in the modern church today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ld Testament people, and they are just one more act of entertainment to please themselves without getting hurt. People are engaged in religious entertainment. 오늘날 현대 교회에서 행하는 모든 종교행위도 구약 백성들의 시도와 다를 것이 없으며 한 걸음 더 나가 내가 다치지 않으면서 나를 기쁘게 하고자 하는 오락행위에 불과하다. 사람들은 종교놀이에 몰두해있다.

Therefore, the work of God that the Holy Spirit does to the saints is to make this break.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Gospel of John, Jesus' visit to the wedding feast in Ghana is recorded. When Jesus' mother said that the wine ran out of the banquet, Jesus looked at her mother and said, "Woman, what does it have to do with me?" And then he orders the servants to fill the jars with water, not wine, and take them to the banquet hall. The only thing humans can offer is water. Why? Humans are water. Water can never turn into wine. There is a gap between water and wine that can never be overcome. It is disconnected. No matter how religious the human act, no matter how hard the effort is, the water does not turn into wine. 그러므로 성령께서 성도에게 행하시는 ‘하나님의 일’은 이 끊어짐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요한복음 2장에서는 예수님께서 가나의 혼인잔치에 가신 일이 기록되어 있다. 예수님의 어머니가 연회에 포도주가 떨어졌다고 말했을 때 예수님은 자기 어머니를 보고 “여자여 나와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라고 하시면서 그는 하인들에게 항아리에 포도주가 아닌 물을 채워 연회장으로 가져가게 명령하신다. 인간이 내놓을 수 있는 것은 물밖에 없다. 왜? 인간은 물이니까. 절대로 물이 포도주가 될 수는 없다. 물과 포도주 사이에는 절대로 극복할 수 없는 틈이 벌어져 있다. 단절되어 있다. 인간이 아무리 종교적인 행세를 해도, 아무리 노력을 해도 물이 포도주 되지 않는다.

Elijah, who fought against 850 Baal and Asherah prophets, ordered them to bring water and pour it to the altar where burnt offerings were to be burned(1 Kings 18:24). It is to emphasize the disconnect between the will of God and man, and to make clear that there is nothing to be done by man's ability, and that there is no countermeasure. 바알과 아세라 선지자 850명과 대결했던 엘리야는 불이 내려야 할 제단(왕상18:24)에 물을 갖다 붇게 한다. 그것은 하나님과 인간의 뜻 사이의 단절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며 인간의 힘으로서는 아무것도 할 것이 없다는 것, 아무런 대책이 없다는 것을 뚜렷하게 하기 위함이다.

It is the Lord Jesus Christ who is the only remedy for such a impossible, helpless, hopeless man. He shed His blood, the covenant blood, and offered Himself a sacrifice for many to gain forgiveness of sins. He comes back to his people as wine that has already been finished(Matthew 6:27~29). He fills in the gap between God and his people with his own body and makes holes in their hearts. 이런 불가능하고 무력하고 절망적인 인간에게 유일한 대책이 되시는 분은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분께서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자신의 피 곧 언약의 피를 흘리시고 자신을 희생물로 내어주셨다. 그분은 이미 종결된 포도주로서 자기 백성에게로 다시 오신다.(마6:27~29). 그분은 자신의 몸으로 하나님과 자기 백성 사이에 난 틈을 메꾸시고 그들의 마음에 구멍을 뚫으신다

In today's text, Ephesus 6:5, Christ appears here, “Slaves, obey your earthly masters with respect and fear, and with sincerity of heart, just as you would obey Christ.” Christ appears here. He is the one who reverses the rank of the earth. This is the one who, being in very nature God, did not consider equality with God something to be grasped .......and humbled himself and became obedient to death-- even death on a cross!(Philippians 2:6~8)”. There can be no salvation for man unless the Lord didn't come, who has been lowered to the seat of the servant whom man abhors most against the nature of man who loves to be a master.
He drills a hole in the place of mind, occupied by money, servants, masters, good, evil, self-defense, victim mentality,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오늘 본문 에베소서 6장 5절에서 “종들아 두려워하고 떨며 성실한 마음으로 육체의 상전에게 순종하기를 그리스도께 하듯하여” 여기에 그리스도가 등장한다. 이 그리스도는 이 세상의 서열을 거꾸로 하시는 분이다. 이분은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신 분(빌 2:8)”이시다. 주인이 되는 것을 사모하는 인간의 본성을 거슬러서 인간들이 제일 싫어하는 종의 자리로 낮아지신 주님이 오시지 아니하면 인간에게는 구원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분은 돈, 종, 주인, 선, 악, 자기방어, 피해의식, 장래에 대한 불안이 차지하고 있는 마음의 자리에 구멍을 뚫으시는 것이다.

The law is not given to censor and verify ourselves Rather, it is the law, the word of God, that devours us, that is salvation. All of these things—sleeping, getting up, working, resting, born, dying, loving, hating, planting and pulling out—are done by the Lord's permission. The fact is that we are not following the Lord, but the Lord is following us. Therefore, if we are saved, we should not take it for granted, but be puzzled. We get to think like this, "I didn't do anything for the Lord, and I was just devoting on making money, so it's ridiculous that I'm saved." 율법은 자기 자신을 검열하고 검증하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율법 즉 하나님의 말씀이 나를 삼키는 형국, 그게 구원이다. 우리가 날마다 자고 일어나고 일하고 쉬고 태어나고 죽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심고 뽑고 하는 이 모든 일들은 주님의 허락하심에 의해서 되는 것이다. 사실은 우리가 주님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고 주님이 우리를 따라오시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구원받았다면 당연해하는 것이 아니라 어리둥절해하는 것이 맞다. ‘나는 주님을 위해 아무것도 한 것도 없는데, 그저 돈 버는 일에 몰두한 것밖에는 없는데 그런 내가 구원을 받다니 이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This bewildered man is a man whose heart was punctured by the love of the Lord. It is known to this man that the promise of God is stronger than his social conduct as a servant or master. esus deliberately pushes his people into the hellish society, making them realize that salvation is not in their own power, and making those who have holes in their hearts by the power of the Lord who has become a servent himself get out of the relationship of biting one another and become a union. 어리둥절해하는 이 사람은 주님의 사랑에 의해 마음 중앙에 구멍이 뚫린 사람이다. 이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약속이 종 혹은 주인으로서의 그의 사회적 행위보다 더 세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주님은 일부러 그 지옥 같은 사회에 자기 백성을 밀어 넣어서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으로는 구원은 어림도 없음을 깨닫게 하시고, 스스로 종이 되신 주님의 위력으로 마음에 구멍이 난 자들을 서로 물어뜯는 관계에서 빠져나와 연합체가 되게 하신다.

They are incidentally generated as slaves to the Word through the Lord Jesus Christ, their only master. The Holy Spirit makes them realize that hey still have their own hearts and that they are the devil's mockery, and that they drink the blood of his covenant which the Lord has provided by the death of his cross, so that they may find that they are already dead. 이들은 그들의 유일한 상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말씀의 종으로 사건적으로 발생 된다. 성령은 그들이 여전히 자기 자신의 마음을 갖고 있다는 것과 그것이 악마의 조롱거리임을 깨닫게 하시고 그들을 주님께서 자신의 십자가의 죽으심으로써 제공하신 그분의 언약의 피를 마시게 하심으로써 그들은 이미 죽은 자라는 사실을 발견케 하신다.

'함숙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적전쟁  (0) 2020.01.31
하나님의 전신갑주  (0) 2020.01.24
부부사랑 200104   (0) 2020.01.04
남편들아   (0) 2019.12.28
아내들이여   (0) 2019.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