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남편들아

아빠와 함께 2019. 12. 28. 17:13
2019-12-28 10:54:19조회 : 9         
Husbands남편들아이름 : 함숙경 (IP:59.4.47.203)
title : Husbands남편들아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Ephesians 5:25-27
date : 2019/12/22

25.Husbands, love your wives, just as Christ loved the church and gave himself up for her 남편들아 아내 사랑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시고 위하여 자신을 주심 같이 하라
26.to make her holy, cleansing her by the washing with water through the word,이는 곧 물로 씻어 말씀으로 깨끗하게 하사 거룩하게 하시고
27.and to present her to himself as a radiant church, without stain or wrinkle or any other blemish, but holy and blameless. 자기 앞에 영광스러운 교회로 세우사 티나 주름 잡힌 것이나 이런 것들이 없이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려 하심이니라

SUMMARY

Husbands have no command to obey. As far as the gospel is concerned, women live to obey their husbands, but husbands have no justification for keeping their lives. Because husbands' mission is to die. In Genesis 3, God gave each of guilty husbands and wives a distinct role. Genesis 3, God gave sinful husbands and wives distinct roles. Today,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is becoming increasingly socially meaningless.남편에게는 ‘복종하라’는 명령이 없다. 복음으로 하면, 여자는 남편에게 복종하기 위해 살지만 남편은 자신의 목숨을 부지해야할 명분이 없다. 왜냐하면 남편은 죽는 것이 사명이기 때문이다. 창세기 3장을 보면 하나님께서는 범죄한 남편과 아내에게 각각 서로 구별되는 역할을 주셨다. 그러나 오늘날에 있어 남자와 여자라는 역할 구분은 점차 사회적으로 무의미해져 간다.

But the Bible keeps the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stubbornly. Because the distinction reveals the purpose and the completion of God's creation and the full picture of salvation. This is how Genesis 2 describes the purpose of God in making a woman. "God said, it is not good for the man to be alone. I will make a helper suitable for him(Gen. 2:18)" God created a woman as a helper for man. 하지만 성경은 남성과 여성의 구분을 고집스럽게 유지한다. 왜냐하면 그 구분이 하나님의 창조취지와 창조의 완성 곧 구원의 전모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창세기 2장은 하나님께서 여자를 만드신 목적을 이렇게 밝히고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창2:18)” 하나님은 여자를 남자를 돕는 배필로서 창조하신 것이다.

However, the meaning of this “helper” became apparent only after man sinned from eating the fruit of good and evil. Eventually it was revealed that for the sinner Adam (the husband), the woman (the wife) was originally designed to serve as a channel of communication with God. After man's transgression, her husband Adam was embodied as dirt (Gen. 2:19), and her wife, Eve, as "the mother of all living ones" (Gen. 2:20), or "life." This was the premeditated intention of God before creating the world that he would send the Messiah to destroy the serpent's plans and attempts through the offspring(the seed) of the woman (Gen. 3:16). 그런데 이 ‘배필’의 의미가 인간이 선악과를 먹고 타락한 후에 비로소 분명하게 드러났다. 결국 범죄한 아담(남편)에게 있어 여자(아내)는 애초에 하나님과의 대화의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지어졌다는 것이 드러났다. 인간이 범죄하고 난 뒤에 남편 아담은 흙(창2;19)으로, 아내 하와는 ‘모든 산자의 어미(창2:20)’ 즉 ‘생명’으로 그 역할이 구체화 되었다. 이것은 ‘여자의 후손(창3:15)’을 통해 뱀의 계획과 시도를 와해시킬 메시야를 보내실 것이라는 하나님의 창세전 계획의 의중이었다.

This meant the man had to pay attention to the woman and put his whole heart into God's plan, which appeared through the woman. Strangely, however, the intervention of the "woman's offspring" was supposed to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order of her husband’s dominance. (Gen. 3:16, 1 Cor. 11: 3).이로써 남자는 여자를 주목해야 하고 여자를 통해 나타나는 하나님의 계획에 자신의 전부를 걸어야 했다. 그러나 오묘하게도 ‘여자의 후손’의 개입은 남편 우위의 질서의 바탕 위에서 진행되도록 되어있었다.

Men tries to build a male-oriented world through nature. Men do not obey anyone, but builds his own absolute world. In this situation, the woman is just an assistant. However, in the Old Testament, these incidents of overturning the world of male superiority occurred. Flipping has taken place.남자는 자연을 통해 남성 위주의 세계를 건설코자 한다. 남자는 그 누구에게도 복종하려들지 않고 오로지 자기만의 절대세계를 구축하려든다. 이 상황에서 여자는 그저 보조자일 뿐이다. 그런데 구약성경을 보면 이러한 남성 우위의 질서 세계가 전복되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뒤집기가 일어난 것이다.

These events were recorded in the Bible because Israel was adopted as a function of proving the coming Messiah. Israel follows the path of female superiority, not male dominance. In Judges 4: 8-9, it is written that “Barak said to her, "If you go with me, I will go; but if you don't go with me, I won't go.'Very well', Deborah said, 'I will go with you. But because of the way you are going about this, the honor will not be yours, for the LORD will hand Sisera over to a woman.' So Deborah went with Barak to Kedesh." 성경에 이 사건들이 기록된 것은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오실 메시야를 증거 하기 위한 기능으로 채택되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남성 우위의 노선이 아니라 여성 우위의 노선을 따른다. 사사기 4:8-9에 보면, “바락이 그에게 이르되 당신이 나와 함께 가면 내가 가려니와 당신이 나와 함께 가지 아니하면 나는 가지 않겠노라 가로되 내가 반드시 너와 함께 가리라 그러나 네가 이제 가는 일로는 영광을 얻지 못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시스라를 여인의 손에 파실 것임이니라 하고 드보라가 일어나 바락과 함께 게데스로 가니라”고 되어 있다.

Barak, the man who should lead the war, wants cowardly to hide behind Deborah, a woman. At this time God's prophecy is as follows. "The Lord will sell his enemies into the hands of women." This means that under the world order of male superiority, a new hidden order is unfolded by a weak, weak woman. Therefore, this tells us what to do and where to sacrifice his life when a man dies. 전쟁에 앞장 서야 하는 남자 바락이 비겁하게 여자인 드보라 뒤에 숨고자 한다. 이때 하나님의 예언은 이러하다. “여호와께서 원수를 여인의 손에 파실 것이라.” 이는 남성우위의 세계 질서 아래에서 힘없고, 약한 여성에 의해서 새로운 감추어진 질서가 펼쳐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남자가 죽을 때, 무엇을 위하여 그리고 어디에 목숨을 바쳐야 하는 지를 말해준다.

2 Samuel 17 introduces the typical male world and the death of a man who represented what they are seeking. “When Ahithophel saw that his advice had not been followed, he saddled his donkey and set out for his house in his hometown. He put his house in order and then hanged himself. So he died and was buried in his father's tomb(17:23).” 그런데 사무엘하 17은 전형적인 남성의 세계와 그들이 추구하는 것을 대변했던 한 남성의 죽음을 소개한다. “아히도벨이 자기 모략이 시행되지 못함을 보고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서 자기 집에 이르러 집을 정리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으매 그 아비 묘에 장사되니라(17:23)”

In the men's world, they want their tactics and tricks to act as the power to move the world. He wants his own value to shine. Here, Ahithophel goes down to his hometown and hangs himself when he is informed that his trick has not been adopted by Absalom in the plot to rebel against his father king David. As such, all non-believers are committing suicide every day. Because he forgot 'the fact that a man lives to die', he struggles to survive in a situation where he must die. He lives every day on his choice. However, such efforts are on the way to collapse and suicide. 남성들의 세계에서는 자신의 지략과 묘략이 세상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하기를 원한다. 독자적으로 남자 본인의 가치가 빛나기를 원하는 것이다. 아히도벨은 압살롬의 자기 아버지 다윗 왕에 대한 반란 도모에 자신의 묘략이 채택되지 않았음을 통보받고 고향으로 내려가 목을 맨다. 이처럼 모든 불신자 남자들은 매일 자살하는 중이다. ‘남자는 죽기 위해 산다는 사실’을 잊었기 때문에 죽어야 될 상황에서 버둥거리면서 살아남으려고 안간힘을 쓴다. 자신의 선택에 매일의 목숨을 거는 형국이다. 그러나 그런 노력이 곧 망하는 길이며 자살의 길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t the antipodal point of Ahithophel, the typical man of the world, there is Abraham who was brought out of Abram's death. In the end, Abraham dedicated his death to his wife. 반면에 전형적인 세상 남자인 아히도벨의 대척점에 아브람의 죽음에서 끄집어내어진 아브라함이 있다. 결국 아브라함은 자신의 죽음을 아내에게 바친다.

The whole story is like this. The husband Abram receives revelation from God The LORD had said to Abram, "I will bless those who bless you, and whoever curses you I will curse; and all peoples on earth will be blessed through you." (Gen.12:3)".사건의 전모는 이렇다. 남편 아브람이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다.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 하신지라(창 12:3)”

But as Abraham becomes caught up in unexpected circumstances, he becomes aware that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is being achieved around his wife, not the husband himself. The Bible chronicles two shameful incidents in which Abram tried to preserve his life using his wife as a victim.하지만 아브라함은 예기치 못한 상황들에 휘말리면서 정작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는 남편인 그 자신이 아니라 그의 아내를 중심으로 성취되어 간다는 것을 눈치 채게 된다. 성경은 아브람이 자기 아내를 희생물로 삼아 계시 당사자인 자신의 목숨을 보전하려 시도했던 두 번의 부끄러운 사건을 기록한다.

"When the Egyptians see you, they will say, 'This is his wife.' Then they will kill me but will let you live. 13.Say you are my sister, so that I will be treated well for your sake and my life will be spared because of you(Gen.12:12~13)" “애굽 사람이 그대를 볼 때에 이르기를 이는 그의 아내라 하고 나는 죽이고 그대는 살리리니 원컨대 그대는 나의 누이라 하라 그리하면 내가 그대로 인하여 안전하고 내 목숨이 그대로 인하여 보존하겠노라 하니라”(창 12:12-13)

"and there Abraham said of his wife Sarah, "She is my sister." Then Abimelech king of Gerar sent for Sarah and took her(Gen.20:2). “그 아내 사라를 자기 누이라 하였으므로 그랄 왕 아비멜렉이 보내어 사라를 취하였더니 ”(창 20:2)

God completely destroys the futility, uselessness and impossibility of Abram's masculine approach to the covenant of God. And Abram learns that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of God revolves around Sarah, his wife, and that in the course of that covenant, Abram, the man, must be in the place of the dead and the impossible. 하나님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아브람의 남성적 접근의 허망함과 쓸모없음과 불가능함을 철저하게 부수신다. 그리고 언약은 아내인 사라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 언약 전개에 있어 남자인 아브람은 없는 자, 죽은 자, 불가능한 자의 자리에 있어야함을 알게 된다.

"But the LORD inflicted serious diseases on Pharaoh and his household because of Abram's wife Sarai(Gen. 12;17). “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연고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창12:17)”

"for the LORD had closed up every womb in Abimelech's household because of Abraham's wife Sarah(Gen. 20:18) “여호와께서 이왕에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연고로 아비멜렉의 집 모든 태를 닫히셨음이더라(창20:18)”

Abram's male-dominated order is useless and a hindrance to his wife's sarah situation. What is decisive is when the promise of the number of Abram's descendants is as large as the stars of heaven. Abram already knew that his wife was infertile. At this time Abram knew that his wife was infertile. 이처럼 아브람이 갖고 있었던 남성위주의 질서는 아내 사래로 인해 일어나는 상황 속에서 무용지물이 되고 도리어 방해물이 된다. 결정적인 것은 아브람의 자손이 하늘의 뭇별만큼 많아진다는 약속이 주어질 때이다(창15:5). 이때 아브람은 자기 아내가 불임이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From Abram's point of view, infertility and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s are hardly linked. Abram himself has no way of doing this. Hebrew declares this : “By faith we understand that the universe was formed at God's command, so that what is seen was not made out of what was visible(11: 3)”아브람의 견지에서는 불임과 하나님의 언약성취는 도저히 연결이 되지 않는다. 아브람 자신의 힘으로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 그러나 히브리서는 이렇게 선언한다.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11:3)”

In other words, getting eternal life and going to heaven have nothing to do with a person's ability. Abram only had to watch how God's promises were fulfilled and know that his own ability, deeds, and life, was nothing. 즉 영생을 얻는 것도 천국에 가는 것도 사람의 능력과는 무관한 것이다. 아브람은 다만 하나님의 약속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지켜보고 그 약속의 실행에 자신의 능력, 자신의 행함, 자신의 목숨 따위는 아무것도 아님을 알아야했던 것이다.

Abraham is a man like Ahithophel. But something unknown to Ahithophel was known to Abraham. In other words, it is that he is wholly incompetent in fulfilling God's promises. God revealed it to him through the infertility of his wife. In other words, he learned that the place of the poor and incompetent wife was the husband's his own's. Abraham, therefore, had to devote himself al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s infertility and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Because God's covenant was being fulfilled centered on infertility. This was not "I will live and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 but rather that he will bet his all on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 beyond death." 아브라함도 아히도벨처럼 남자이다. 하지만 아히도벨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브라함에게는 알려진 것이 있었다. 즉 하나님의 약속 성취에 자신은 전적으로 무능한 자라는 것이다. 이것을 하나님께서 그의 아내의 불임을 통해 그에게 알려주셨다. 즉 못나고 무능력한 아내의 자리가 남편 자신의 원래 자리였음을 배우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은 아내의 불임성과 언약 성취 사이의 관계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야했다. 불임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고 있었다. 이는 “내가 살아서 약속 성취에 기여 하겠다”가 아니라 ‘죽음 너머에서 발생되는 그 약속의 성취’에 그의 모든 것을 걸겠다는 것이었다.

But there is something to note here.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who is the Lord of the dead and living (Rom. 14: 8-9) is manifested in the structure of love, that is, the sacrifice of the Son of God and redemption at no cost. Love, therefore, is the comple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children. The Holy Spirit works by holding up and brushing the life of God's children upside down to reveal this structure of love. 그런데 여기에 주목해야 할 것이 있다. ‘죽은 자와 산 자의 주(롬14:8-9)’가 되시는 하나님의 약속 성취는 ‘값없는 구원’과 ‘하나님의 아들의 희생’이라는 사랑의 구조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랑은 하나님과 그분의 자녀와의 관계의 완성을 말한다. 성령님은 이 사랑의 구조가 밝히 보이도록 하나님의 자녀의 인생을 거꾸로 들고 털어내는 방식으로 일하신다.

The life of the saints is daily drawn into this work of God and into death. only the true saints can freely surrender themselves to this work of God for the sake of the church, the relationship of love that God has prepared for them beyond their death, in gratitude for eternal life at no cost. 성도의 인생은 날마다 하나님의 이 작업 속으로 끌어당겨져 죽음으로 들어가게 된다. 참된 성도만이 값없이 주신 영생에 감사하면서 죽음 너머 친히 하나님께서 마련해놓으신 사랑의 관계, 곧 교회를 위하여 아낌없이 하나님의 이 작업 속에 자신을 내어 놓을 수 있다.

For the place of their Lord on the cross is amazingly the place of sinners, the place of curses, and the place of death. The Lord himself created the place of 'deserved to die.' This is where all the husbands mentioned by the apostle in today's text should join: the place of infertility. 왜냐하면 십자가 지신 그들의 주님의 자리가 이 땅에서 놀랍게도 죄인의 자리요 저주받은 자리요 사형수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죽어 마땅함’의 자리를 주님께서 친히 만들어 내신 것이다. 바로 이 자리가 오늘 본문에서 사도가 언급한 모든 남편들이 합류해야 될 진짜 자신들의 자리, 곧 불임의 자리다.

They must join the place of shame, of impossibility, of the very wife so that they can join the place that their true husband has achieved and prepared. A true husband who gives up his life for his wife does not exist in this world. Therefore, the husband is in a position to look at "the place of an empty true husband" with his wife그 부끄러움의 자리, 불가능의 자리 바로 그 아내의 자리에 합류해야만 그들의 참된 남편이 성취하시고 마련하신 자리에 함께 할 수 있다. 아내를 위하여 자기의 생명을 버리는 참된 남편은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남편은 아내와 더불어 ‘비어 있는 참된 남편의 자리’를 함께 쳐다봐야 할 입장인 것이다.

'함숙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관계속에 내포된 복음   (0) 2020.01.18
부부사랑 200104   (0) 2020.01.04
아내들이여   (0) 2019.12.22
감사와 복종 191208  (0) 2019.12.15
술 취하지 말라(엡5;18,19) 191207   (0) 201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