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숙경

주님의 윤리

아빠와 함께 2020. 6. 27. 09:51

title : The Lord's Ethics 주님의 윤리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2:25-30
date : June 21, 2020

25.But I think it is necessary to send back to you Epaphroditus, my brother, fellow worker and fellow soldier, who is also your messenger, whom you sent to take care of my needs. 26.For he longs for all of you and is distressed because you heard he was ill. 27.Indeed he was ill, and almost died. But God had mercy on him, and not on him only but also on me, to spare me sorrow upon sorrow. 28.Therefore I am all the more eager to send him, so that when you see him again you may be glad and I may have less anxiety. 29.Welcome him in the Lord with great joy, and honor men like him, 30.because he almost died for the work of Christ, risking his life to make up for the help you could not give me.

SUMMARY

The apostle Paul introduces the people of Philippi Church to Epaphroditus as 'his fellow worker.' In particular, he was the one who almost died for the work of Christ, risking his life, and shared the point of view of the death of the apostle Paul, who was convinced that the Lord would take action to ensure that even for him to die was gain(Phi. 1:20-21). 사도 바울은 빌립보교회 성도들에게 에바브로디도를 소개하는데 그는 ‘바울과 함께 수고한 자’라고 소개한다. 특히 그는 ‘죽기에 이르러도 자기 목숨을 돌보지 아니한 자’로서 자신의 ‘죽음’조차도 필히 유익이 되도록 주님이 조치해주실 것(빌1:20-21)이라고 확신했던 사도바울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는 자로 소개되고 있다.

In other words, Epaphroditus did not regard the matter of his death as a matter of his own to be dealt with by himself, but a matter belonging to the Lord, which should be dealt with by the Lord. This was the same principle that Epaphroditus helped the apostle Paul, just as Jesus' death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apostle Paul. 즉 그는 자신의 죽음에 관한 사안을 자신이 다루어야할 자기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주님에 의해 다루어져야하는 주님께 속한 문제로 여겼던 것이다. 이것은 예수님의 죽음이 사도바울을 움직이게 만든 동인이었듯이 디도가 사도 바울을 돕는데도 동일하게 작용하는 원칙이 되었던 것이다.

It is Jesus that is the prototype of the way of life of the apostles Paul and Epaphroditus. Jesus came to this world in order to die, and was resurrected by the Holy Spirit after he died on the cross. The journey of the life of the saints will follow the same path as Jesus’s. This is not a phenomenon that can be understood by flesh and blood. Thus the life of the saints unfolds in a way that is not understood by flesh and blood. The word "understandable by flesh" means that you understand the law or the Bible as a word given by God to perform toward living humans. Without the Holy Spirit, man cannot help but regard the law as "an ethics that God demands from man." 사도 바울과 디도의 삶의 방식의 원형이 되는 분이 예수님이시다. 예수님은 이 땅에 죽기위해 오셨으며 십자가에서 죽으신 이후에 성령님에 의해 부활되셨다. 성도의 삶의 여정 역시 예수님과 동일한 경로를 밟게 된다. 이것은 육으로는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도의 삶은 그들의 육으로는 이해되지 못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육으로 이해 가능하다’는 말은 율법이나 성경을 신(하나님)이 살아 있는 인간을 향하여 실천하라고 주신 말씀으로 이해한다는 의미이다. 성령이 없이는 인간은 율법을 ‘신이 인간에게 요구한 인간이 수행해야할 윤리’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However, “the Lord's ethic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humans think. It is not ethics as a means required to make the performance of those who consider themselves alive worthy, but rather ethics that makes themselves deny as making all their activities as useless, worthless and meaningless. In other words,'the ethics of the Lord' is 'ethics that make people die.' 그러나 ‘주님의 윤리’는 인간이 생각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것은 자신을 살아있다고 여기는 자들의 수행을 가치 있게 만들어 주는데 필요한 수단으로서의 윤리가 아닌 오히려 자신이 하는 모든 활동을 무익하고 무가치하며 의미 없는 것으로 여기게 만드는 것으로서 자기 자신을 부정하게 만드는 윤리이다. 즉 ‘주님의 윤리’는 사람을 ‘죽게 만드는 윤리’인 것이다.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Lord led the Israelites taken out of Egypt to the Red Sea (Exodus 14). The Lord drives those who rejoice that they are freed from Egypt into the Red Sea, and then divides the Red Sea and have them pass through it. Paul tells us about this. : “For I do not want you to be ignorant of the fact, brothers, that our forefathers were all under the cloud and that they all passed through the sea. They were all baptized into Moses in the cloud and in the sea(1 Co. 10:1-2).”주님께서 애굽에서 빼내신 이스라엘 사람들을 이끌어 홍해로 데려다놓으시는 것도 바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이다(출14). 주님은 애굽에서 벗어났다고 기뻐하는 자들을 홍해로 몰아붙이시고는 홍해를 가르시고 그 가운데를 지나가게 하신다. 바울은 이것에 대해 다음과 알려준다. : “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세례를 받고(고전10:1-2)”

This means that the individual identities and personalities of those who have safely crossed the Red Sea have now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and that they have come to have the meaning of existence only as a possession of Moses. It can be said that passing through the Red Sea shows the nature of the saints being in Jesus in advance in the Old Testament. As such, "the Lord's work" is to consistently drives his people to death. The death is not carried out at some point in the future, but in a way that they are now alive but are informed that their lives are already over. 이것은 홍해를 무사히 건너온 자들의 개별적인 정체성과 독자성은 이제 완전히 소멸되어버렸다는 것과 그들은 모세의 소유물로서만 존재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홍해를 지나는 것은 예수님 안에 있는 성도의 본질을 구약에서 미리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주의 일’이란 예나 지금이나 일관되게 자기백성을 죽음으로 몰아세우는 일이다. 그 죽음은 점점 나이 들어 장차 어느 시점에서 죽는 것이 아니라 지금 살아있으나 그들의 삶이 이미 종결되었음을 통보받는 방식으로 이행된다.

Therefore, the Promised Land is only allowed to those who have already died, knowing that their future has been completed by the death of Jesus on the cross. It is not a world that those who think they are alive can covet. 그러므로 약속의 땅은, 이미 죽은 자들, 곧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으로 그들의 미래가 완료돼버린 것을 아는 자들에게만 허락된 땅이다. 그곳은 자신이 살아있다고 생각하는 자들이 탐낼 수 있는 그런 세계가 아니다.

Otherwise, 'God's ethics' works inside those who imagine entering the promised land without losing their lives. So, they thoroughly manage their lives so that elements of failure are not found in them, as if they were preparing for the heavenly entrance exam. 이와는 달리 자기 목숨을 잃어버리지 않은 채 약속된 땅에 들어가는 상상을 하는 그런 자들의 내부에서는 ‘신의 윤리’라는 것이 작용을 한다. 그래서 그런 자들은 마치 천국입성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처럼 그들에게서 불합격의 요소가 그들 자신들에게 서는 발견되지 않도록 자기 삶을 철저하게 관리한다.

But this phenomenon stems from a thorough human misconception about salvation. The salvation that the gospel means is a irresistible incident that is suddenly kidnapped by the Lord. Heaven is not the same place that humans can get into by exercising their abilities. For those who want to show their ability to enter heaven, there is a proper place reserved for them, which is the very hell. 그러나 이런 현상은 구원에 대한 인간의 철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복음이 말하는 구원은 주님에 의해 불현듯 납치당하는 불가항력적인 우발적인 사건이다. 천국은 인간이 자신들의 실력을 발휘해서 들어갈 수 있는 그 같은 곳이 아니다. 천국에 들어가는 실력 발휘를 해보겠다는 자들을 위해서라면 그런 자들에게 예비 된 적절한 장소가 있는데 그 곳이 바로 지옥인 것이다.

Besides, heaven is not a place like the next world that humans can target. It is a world that is neither visible nor captured by humans. In today's text, the apostle Paul introduces Epaphroditus as his fellow soldier.” From people's point of view, Epaphroditus seems reckless. Because he fights against the visible with the invisible. 게다가 천국은 인간들이 목표로 삼을 수 있는 ‘저 세상’같은 곳이 아니다. 그곳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도 않고 인간에게 붙잡히지도 않는 세계이다. 오늘 본문에서 사도 바울은 에바브로디도에 대하여 ‘나와 함께 군사 된 자’라고 소개한다. 사람들의 관점으로 볼 때 에바브로디도는 무모해 보이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그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써 눈에 보이는 것들을 상대하여 싸우기 때문이다.

In fact, the only real entities in this world are the devil and Jesus. On the other hand, all humans are subordinate to one of these two entities and are nothing but helpless dead things that can never do anything on their own. Man is only acting on behalf of the devil at best. Evil spirits control human beings and own them as much as they want. However, the saints are those who have been already rescued from the dominion of darkness and brought into the kingdom of the Son he loves(Col. 1:13). 사실 이 세상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실체는 악마와 예수님뿐이다. 그에 반해 모든 인간들은 이들 두 실체 중 하나에 종속되어 결코 스스로는 그 어떤 것도 독자적으로 행할 수 없는 무기력한 죽은 사물에 불과하다. 인간은 기껏해야 악마의 활동을 대행할 뿐이다. 귀신은 인간 안에서 얼마든지 인간을 조종하고 그를 소유한다. 그러나 성도들은 흑암의 권세에서 건져내어져 그의 사랑의 아들의 나라로 이미 옮겨진 자들이다(골1:13).

Those who do not know this fact have the same misconception that Mary, the sister of Lazarus, did. "Lord, if you had been here, my brother would not have died(John 11:32)." But the gospel says that saints are not those who find their own lives because of Jesus, but those who lose their own lives for Jesus(1Mat.10:39). Only when you lose your own life can you overcome the barriers of misunderstanding called "God's ethics”. 이 사실을 알지 못하는 자들은 나사로의 여동생 마리아가 했던 것과 동일한 오해를 한다. “주께서 여기 계셨더라면 내 오라버니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요11:32).” 그러나 복음이 말하는 바는 성도란 예수님으로 인하여 자기들의 목숨을 얻는 자들이 아니라 예수님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숨을 잃는 자들이라고 말한다(마10:39). 목숨을 잃을 때만 ‘신의 윤리’라고 하는 오해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saints are not those who are preoccupied with what they will do in the future 'before they die,' but those who are already dead and do according to the accidental movement of the Holy Spirit. For the dead, there is no their own meaning belonging to their own will, hope and purpose of life. What is shown in the actions and attitudes of these people is "the Lord's ethics." 그러므로 성도는 ‘죽기 전’에 장차 자신들이 무엇을 행할 것인가에 대해서 몰두하는 자들이 아니라 그들은 이미 죽었기에 성령의 우발적인 움직임에 따라 행하는 자들이다. 죽은 자들에게는 자기 자신의 뜻과 희망과 삶의 목적이라고 하는 자기 자신에게 속한 의미란 것이 없다. 이런 자들의 행위와 태도에서 보여 지는 것이 바로 ‘주님의 윤리’이다.

 

이근호 

“주님에 의해 목숨을 잃는 자만이 ‘신의 윤리’라고 하는 오해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다”
즉 이미 죽었기에 할 수 있는 것만을 내놓은 자가 성도다.

'함숙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법의 관  (0) 2020.07.10
개 같은 인생  (0) 2020.07.04
예수의 일  (0) 2020.06.20
관제  (0) 2020.06.12
그리스도의 날  (0) 2020.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