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강-YouTube강의(설교 요한복음 20:31)20211207-이 근호 목사
제374강, 제목은 ‘설교’. 설교라는 것을 설교자가 할 때 교인들보고 “설교할까요?” 물으면 안돼요. 왜냐하면 설교는 사람하고 설교자하고 신학교 나온 목사하고 의논해서 설교가 성립되는 게 아니고 이미 성경에 설교하라고 되어 있어요, 설교자에게. 조건이 있죠, 성령 받은 사람에게.
성령 받은 사람이 다 설교자 되는 건 아닌데 설교자의 필수 요건인 성령 받은 사람이 설교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설교할 때 교인들 보고 “설교 할까요, 말까요?” 라고 물을 필요가 없어요. 설교자는 성경에 나와 있으니까 설교를 해야 되는 겁니다.
그래서 로마서 10장 같은 경우에는 아주 단출하게 나와 있어요. 전하지 않으면 누가 믿으리요 보내지 않으면 누가 전하리요 (로마서 10장 14절-15절). 지상에 일어나는 현상에 있어서 하늘과 땅 사이에 연결고리가 아주 단출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 대목을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유념하면 되느냐 하면...... 말씀을 듣지 않고서는 누가 믿으리요. 그다음에 말씀으로 강조점이 이동했지요. 보내지 않으면 누가 전하리요. ‘보냈다-> 전했다-> 들었다-> 구원 발생되었다’ 이 논리입니다.
그런데 그 논리를 성령께서 성경에 그렇게 구성을 하시면서 반드시 언급해야 될 것은 보는 것으로 하지 않는다는 그 점입니다. 보는 걸로 구원받는 것은 말씀을 들음으로 구원받는 게 방해되기 때문에 보는 것을 주께서는 취급하지 않습니다. 하늘나라 가게에서는 그 물건 취급하지 않아요. 보고 온 사람들은 천국에서 거부합니다.
복음 말씀을 듣고 믿는 자에게만 들어오는 것이고 그 복음 말씀은 복음 전하는 자가 “내가 당신을 가르칩니다.” 그것도 탈락이에요. 그것도 안돼요. “주께서 보내서 전하라 했기에 내가 전합니다.”라고 연결고리를 확실히 가져가야 돼요.
주께서 보내셔서 전했고 주께서 보낸 그 말씀을 내가 들음으로 구원을 받음으로 말미암아 나의 구원이 전한 자의 공로나 능력으로 스톱되면 안 됩니다. 그건 뭐 100% 가짜죠. 백신 패스 있잖아요. 백신 맞으면 그냥 패스잖아요. 설교자 패스에요. 설교자로부터 출발하는 것은 패스. 그건 안돼요. 설교자가 중간에 전하고 빠져버려야 돼요.
그렇다면 그걸 어떻게 판정하느냐? 설교내용에 그게 포함이 되어야 돼요. 저의 능력으로 여러분 구원되는 것은 주께서 삑-. 주께서는 그걸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전하는 설득력으로 말재주로 전하는 것은 삑- 이것을 주께서는 인정한 적이 없습니다. 그걸 반드시 설교시간에 집어넣어야 돼요.
그러면 교인들이 묻겠죠. “아유, 공부도 많이 하고 성경도 많이 아시는데 왜 당신 능력을 제거하십니까?” 라고 물을 거예요. 묻게 되게 되면 그 설교자의 설교내용 속에 포함되어 있어요. 사도 바울이 이야기한대로 “저는 십자가를 지지 않았습니다. 십자가 지신 당사자가 아닙니다.”
그러니까 설교의 현장성이라 하는 것은 지금까지 한 것을 정리하게 되면 십자가 지신 분이, 반드시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형식으로’ 자기가 보낸 종을 통해서 주의 말씀을 전하게 하셔가지고 그 전하는 말씀이 주의 종이 전한 말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십자가 달리신 그 분이 지금 현장에 현존, 실존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그 말씀으로 하나님 백성은 확정됩니다.
이렇게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설교 내용 속에 그 내용이 다 담겨 있어야 됩니다. 듣는 자나 전하는 자나 전부다 필수 요건이 자기 부인, 자기 부정이 되어야 되고 자기 부정이란 다른 게 아니에요. ‘나는 아무것도 쓸모가 없습니다.’가 설교 안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됩니다. 아무 쓸모없습니다. 정작 설교를 하게 하시고 그 말씀에 성령을 담기게 하시는 당사자가 보이지 않는 형태로 이 현장에 계시기 때문에 “나는 아닙니다.” 라는 말을 필히 해야 되겠죠.
그렇다면 주님께서 현장에 계실 때 그 방식이 뭐냐에 대해서, 주님이 현장에 있다, 없다를 어떤 방식으로 정립할 수 있는가. 그 점도 하나님께서 미리 제자들에게 언급을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20장 31절에 보면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되어 있어요. 자, 기록입니다. 조금 어려워요. 기록이죠. 문자입니다.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여기서 어려운 이유가 뭐냐. 기록에서 믿음이 발생된다는 거예요, 기록된 데서.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그다음에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그러면 이 말은 ‘기록된 게 없으면 생명은 꿈도 꾸지 마라’ 그런 뜻이에요.
내가 생명 받았냐, 안 받았냐 하는 것은 기록된 말씀에서 확인해야 되고 이 기록된 말씀은 무엇을 대체하느냐 하면 ‘보고 믿겠다’를 대체하는 겁니다. “주님 동영상보고 믿겠습니다.”하는 것을 대체하는 거예요. 그러니 고고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성경말씀을 훼방하는지 아시겠죠? 고고학. 예수님 당시의 고고학적인 유물. 그것이 기록을 완전히 모독하는 겁니다. 이 기록을 배제하는 거예요.
그럼 기록하면 기록자가 있을 게 아니냐? 기록자를 위해서 제자들에게 성령을 주신 거예요. 그게 바로 그들만의 은사라는 겁니다. 그들만 해야 될 역할이죠, 역할. 성경을 기록하는 거예요. 그게 바로 요한복음 21장에도 나와 있어요. 21장 24절에 보면, “이 일들을 증언하고 이 일들을 기록한 제자”
기록이라는 말은 그러니까 예수님 제자들만 구원 받는다면 굳이 기록할 필요 없어요. 제자들은 언젠가 나이 많아 죽는다 이 말이죠. 제자들이 죽고 난 뒤에 천국 갈 사람들이 있을 것 아니겠습니까? 생명책에 기록된 사람이 있을 거죠. 그 사람들을 위해서는, 제자들은 보고 믿었지만 그 사람들은 보지 않고 믿는 방식을 주께서 생각해놓으신 거예요. 보지 않고 믿는 것.
그러니까 보고 믿겠다 하는 것이 보지 않음에 얼마나 방해되는지요. 진짜 구원에 방해되는 것이 ‘보고 싶어요, 주님. 실제로 주님 살아계신 것을 눈으로 확인하고 싶어요.’ 이러한 인간들의 모든 시도가 그건 믿음이 아닙니다. 보고 믿는 것은 누가 못합니까? 지가 봤는데 누가 안 믿겠어요? 눈,으로 보지 않고 귀,로 들음으로 구원받는 거예요, 들음으로.
물론 이 성경 보는 것도 들음으로 생각합시다. “성경 문자 봤는데요. 아무것도 안 들었는데요.” 이렇게 하는데 그쪽도 성경 문자를 본다는 것은 성경을 쓰신 주님의 실제를 안 본 것이 되기 때문에 안 본 것에 포함이 돼요. 듣는다는 것은 안 봤다는 뜻입니다.
그럼 들으면 뭐 나는 헬라어, 히브리어 모르는데 어떻게 하느냐. 그래서 오순절 날 각자 자기 민족의 방언대로 방언을 해서 각자의 민족 언어로 기록이 파생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교사들은 선교 현지에 가서 굳이 한국말을 쓸 필요가 없어요.
그 현지어를 쓰라는 말은 국적조차도 그 현지로 바꿔야 돼요. 파키스탄에 가면 파키스탄으로 국적을 바꿔서 한국은 빠이빠이가 되어야 돼요. 그런 선교사는 거의 없죠. 미국이나 잘 사는 나라 같으면 몰라도 못 사는 나라에서는 돈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돈 달라 할 때는 한국말로 써야지, 파키스탄 말로 ‘돈 주세요’ 이래가지고는 안 통한다 이 말이죠.
그 현지 말을 쓰라는 말은 말만 통역하라는 말이 아니고 현지 단어가 품고 있는 그 나라의 역사와 전통, 문화를 온 몸에다 다 담아야 된다는 겁니다. 담아버리면 뭐가 되겠어요? 말하는 선교사 자체가 기록된 말씀이 되는 거예요, 기록된 말씀. 단어만 그 현지어로 바꾸는 게 아니고 그 단어가 지닌 의미를 품고 있는 문화에 예속된 사람으로서 기록된 말씀을 증거케 하는 겁니다.
다시 한 번 정리하게 되면 설교라 하는 것은 주께서 오늘날 사람을 구원하는 유일한 방식이고 다른 방식은 없습니다. 그 설교는 본문이 파키스탄이면 파키스탄, 미국이면 미국, 한국이면 한국, 그 사람으로 하여금 영생을 받은 천국 백성 되기 위해서 주님의 성령으로 쓰여진 그 말씀을 우리한테 주게 되면 말씀 받은 우리가 천국 백성의 문화와 그 기록된 성경 말씀의 진리의 세계에 하나의 국민으로써 새로운 피조물로써 새롭게 우리는 기록된 말씀으로써 또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선교사가 되는 겁니다.